부여군, '폭염경보' 발령에 긴급 비상대책회의 개최13개 관련 부서 및 유관기관 총 집결, 대응 현황 점검…온열질환 발생 대비, 취약계층 보호 '총력전'
지난 2일 오전, 충남 부여군은 폭염주의보에서 폭염경보로 기상 단계가 상향됨에 따라 같은 날 오후 2시, 부군수 주재로 ‘폭염 대응 비상대책회의’를 긴급 소집했다고 4일 밝혔다.
군은 본격적인 폭염 시즌에 돌입하며, 농업·건설·보건·복지 등 각 분야별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이날 회의는 군청 13개 실·과와 관련 유관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현재 각 부서의 폭염 대응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대응 계획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특히 회의 말미에는 실무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보완 지침과 현장 중심의 대응 전략이 논의됐다.
홍은아 부군수는 회의에서 “폭염이 연일 기승을 부리는 만큼 온열질환자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폭염 위험 시간대에 재난문자, 스마트마을방송 등을 활용하여 폭염 대응 국민행동요령을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폭염 예방물품을 제작하여 폭염 취약계층에게 배부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현재 부여군은 지난 5월 15일부터 오는 9월 30일까지를 ‘폭염 대책기간’으로 지정하고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을 가동 중이다. 지역 자율방재단, 마을 이장 등으로 구성된 '안전파트너' 조직이 영농 현장과 건설 작업장, 무더위쉼터를 중심으로 수시 순찰을 시행하고 있으며, 무더위쉼터는 냉방장치 점검을 통해 이상 발생 시 즉각 보수 조치가 이뤄지도록 관리되고 있다.
아울러 독거노인과 의료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는 ‘전담 대응반’이 맡고 있다. 총괄상황반과 건강관리지원반으로 나뉜 이들은 대상자에게 직접 방문하거나 유선으로 안부를 확인하며, 폭염에 따른 건강 위협을 사전에 차단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부여군 관계자는 “올해 여름은 예년보다 폭염 일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보된 만큼, 주민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 역량을 투입해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기상청은 당분간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체감온도 35도 안팎의 무더위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며, 무리한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병행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On the morning of the 2nd, Buyeo-gun, Chungcheongnam-do, announced that it had urgently convened an ‘Emergency Meeting on Heat Wave Response’ at 2 PM on the same day, chaired by the deputy county governor, as the weather level was upgraded from a heat wave advisory to a heat wave warning.
The county is entering the full-fledged heat wave season and has begun preparing effective measures for each sector, including agriculture, construction, health, and welfare.
The meeting was attended by 13 departments and divisions of the county office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sharing the current status of each department’s heat wave response and reviewing future response plans. In particular, at the end of the meeting, supplementary guidelines for problems that may arise during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process and field-centered response strategies were discussed.
Deputy county governor Hong Eun-ah said at the meeting, “As heat waves continue to intensify day after day, we will continuously provide national heat wave response guidelines using disaster text messages and smart village broadcasts during heat wave risk times to prevent loss of life due to heat-related illnesses, and we plan to produce heat wave prevention supplies and distribute them to vulnerable groups.”
Currently, Buyeo County has designated the period from May 15 to September 30 as the ‘Heat Wave Countermeasure Period’ and is operating a systematic response system. The ‘Safety Partner’ organization, consisting of local autonomous disaster prevention foundations and village heads, is conducting regular patrols centered on farming sites, construction sites, and heat wave shelters, and the heat wave shelters are managed so that immediate repairs are taken when abnormalities occur through inspection of air conditioning units.
In addition, the ‘dedicated response team’ is in charge of protecting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medically vulnerable. Divided into the general situation team and the health management support team, they are focusing on blocking health threats caused by heat waves in advance by visiting the subjects in person or checking on their well-being by phone.
Buyeo County officials said, “This summer, the number of heat wave days is expected to increase compared to previous years, so we plan to actively respond by investing all administrative capabilities so that damage to residents can be minimized.”
Meanwhile,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ecasts that the heat will continue for the time being, with temperatures reaching around 35 degrees Celsius, especially in the central region, and advises people to refrain from excessive outdoor activities and drink plenty of water and rest.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대전세종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지완 기자
dhpd30320@hanmail.net
![]()
충남 부여군, 부여군, 부여군 폭염, 부여 폭염 대책, 부여 여름철 취약계층 보호 관련기사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