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6월 19일 국정기획위원회에 ‘국정과제 정책제안서’를 제출하며 행정수도 세종시의 지위 확립과 기능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번 제안서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반영하기 위해 시 간부회의를 거쳐 지난 17일 최종 확정된 것으로, 세종시의 미래 발전과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7대 분야 44개 과제를 담고 있다.
우선, 세종시는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집무실을 임기 내 완공하는 대선공약 이행을 핵심 목표로 삼았다. 이를 기반으로 행정수도의 법적 지위 명문화, 중앙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이전 확대, 이전 기관 종사자의 정주 여건 개선 등이 주요 내용이다.
또한 지방분권 종합타운 조성 등 필수 인프라 구축을 통해 행정수도 완성 방안을 구체화했다.
교통 분야에서는 광역급행철도(CTX)의 조속한 추진을 비롯해 제2외곽순환도로 건설, 첫마을 IC 신설, 국지도 96호선 지하차도 건설 등 주요 교통 인프라 개선 과제를 제안했다. 이와 함께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대중교통 시스템과 지역화폐와 연계된 통합 교통패스 도입 계획도 포함됐다.
공공 인프라 조성 측면에서는 중부권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한 중입자가속기 암치료센터와 국립의과대학·종합병원 설립, 국가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기관, 언론·미디어 단지 및 정원도시 조성 등이 강조됐다.
경제 성장 기반 조성 분야에서는 AI와 로봇 등 첨단 기술을 선도할 인재 양성 및 특화단지 조성, 국가 메가 싱크탱크 설립, AI+X 융합형 미래 대학단지 구축 등 전략적 과제를 담았다.
문화 분야에서는 한글문화 국제화 및 산업화를 위한 국립한글문화단지 조성, 청년 창작 활성화를 위한 공연·영상 복합 실험공간, 국립체육영재학교 설립 등 지역 문화 역량 강화 사업이 포함됐다. 또한 AI 시대를 맞아 스마트시티 2.0 고도화 및 국가 시범도시 완성 사업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지방자치 체계 개편과 지방교부세 개편, 예비타당성조사 기준 완화, 국세·지방세 구조 개선 등 지방의 자율성과 안정성을 강화하는 제도 개선 방안도 제안되었다.
최민호 시장은 “이번 정책 제안은 세종시뿐만 아니라 국민 모두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행정수도의 완성은 대한민국의 백년대계를 위한 출발점인 만큼 새 정부가 본 제안서를 적극적으로 검토해 달라”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Sejong City submits ‘National Policy Policy Proposal’ to the State Affairs Planning Committee
On June 19, Sejong City submitted a ‘National Policy Policy Proposal’ to the State Affairs Planning Committee, presenting a specific blueprint for establishing the status of Sejong City as an administrative capital and strengthening its functions.
This proposal was finalized on the 17th after a city executive meeting to reflect it in the new government’s national policy agenda, and contains 44 tasks in 7 major area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Sejong City and the completion of the administrative capital.
First, Sejong City set the key goal of fulfilling its presidential election pledge to complete the National Assembly Sejong Building and the Presidential Office within its term. Based on this, the main contents include clarifying the legal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capital, expanding the relocation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improving the living conditions of employees of the relocated institutions.
In addition, it concretized the plan to complete the administrative capital by establishing essential infrastructure such as the creation of a local decentralization comprehensive town.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major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mprovement tasks were proposed, including the speedy promotion of the CTX (Central Transit Railway), construction of the Second Outer Ring Road, establishment of the Cheotmaeul IC, and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Route 96 underground passage. In addition, an eco-friendly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centered on the Bus Rapid Transit (BRT) system and a plan to introduce an integrated transportation pass linked to local currency were included.
In terms of public infrastructure development, the establishment of a ion accelerator cancer treatment center and a national medical school and general hospital to strengthen medical services in the central region, the creation of a national cybersecurity talent training institute, a media and media complex, and a garden city were emphasized.
In the area of creating a foundation for economic growth, strategic tasks were included, such as fostering talent and creating specialized complexes that will lead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I and robots, establishing a national mega think tank, and building an AI+X convergence future university complex.
In the cultural sector, the project includes strengthening regional cultural capabilities, such as establishing the National Hangeul Cultural Complex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Hangeul culture, a performance and video complex experimental space for youth creativi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ports Gifted School. In addition, in line with the AI era, the project to advance Smart City 2.0 and complete the national pilot city will also be promoted.
Lastly,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strengthen local autonomy and stability, such as reorganizing the local government system, reorganizing local grants, easing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criteria, and improving the national and local tax structures, were also proposed.
Mayor Choi Min-ho said, “This policy proposal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not only Sejong City but also all citizens and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added, “The completion of the administrative capital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100-year plan for the Republic of Korea, so I hope the new government will actively review this proposal.”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대전세종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환일 기자
kwangjang21.kr@gmail.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