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교통공단, 음주 측정 방해 ‘술타기 수법' 처벌 가능 공식 발표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5/06/20 [09:18]

한국도로교통공단, 음주 측정 방해 ‘술타기 수법' 처벌 가능 공식 발표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5/06/20 [09:18]

▲ 충남경찰 음주단속 현장(사진제공= 충남경찰청)     ©김정환 기자

 

음주운전 사고 후 도주해 술을 마시는 이른바 ‘술타기’ 수법에 대해 엄정 처벌이 가능해졌다. 경찰청과 한국도로교통공단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개정 도로교통법 시행 사실을 20일 공식 발표했다.

 

지난 6월 4일부터 시행된 개정 도로교통법은 사고 직후 의도적으로 음주 측정을 피하려고 술을 마시는 행위를 ‘음주 측정 방해 행위’로 명시하고, 이에 대한 처벌 근거를 명확히 담고 있다.

 

법 개정 이전에는 사고 후 도주하거나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술을 마셔 혈중알코올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이를 입증하거나 처벌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이번 개정을 통해 음주운전 사실이 의심되는데도 추가 음주를 통해 측정을 회피하는 행위는 이제 명백한 위법으로 간주된다.

 

개정 법령에 따르면, 이 같은 음주 측정 방해 행위가 적발될 경우 초범이라도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2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여기에 운전면허 취소 등의 행정처분도 뒤따른다. 만약 10년 내 재범에 해당할 경우 형량은 최대 6년 징역 ,벌금은 최대 3000만 원으로 상향된다.

 

이번 개정은 차량 운전자뿐 아니라 개인형 이동장치(PM)와 자전거 운전자에게도 범칙금을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음주 상태에서 PM을 운전한 후 측정을 회피하면 13만 원, 자전거의 경우 10만 원의 범칙금이 각각 부과된다.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은 국민들에게 개정 내용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카드뉴스 형식의 자료를 제작해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 채널을 통해 배포 중이다.

 

한국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이번 법령 개정은 음주운전의 고의적 회피 수법에 실효성 있는 대응이 가능하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음주운전 근절을 위한 제도 개선과 홍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officially announces punishment for ‘drinking and drinking’ method of interfering with breathalyzer test

 

Strict punishment is now possible for the so-called ‘drinking and drinking’ method of fleeing after a drunk driving accident.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officially announced on the 20th that the revised Road Traffic Act, which includes this content, has been implemented.

 

The revised Road Traffic Act, which went into effect on June 4, stipulates that intentionally drinking alcohol to avoid a breathalyzer test immediately after an accident is an ‘act of interfering with a breathalyzer test’ and clearly contains grounds for punishment for this.

 

Before the revision, it was difficult to prove or punish cases wher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could not be accurately measured due to fleeing after an accident or drinking alcohol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had passed. However, with this revision, the act of evading the test by drinking more alcohol even when drunk driving is suspected is now clearly considered illegal.

 

According to the revised law, if you are caught interfering with a breathalyzer test, you can be sentenced to imprisonment for 1 to 5 years or a fine of 5 to 20 million won, even if you are a first-time offender.

 

In addition, administrative measures such as driver's license cancellation will follow. If you are a repeat offender within 10 years, the sentence will be increased to up to 6 years in prison and the fine will be increased to up to 30 million won.

 

This revision includes a provision to impose fines not only on vehicle drivers but also on drivers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PMs) and bicycles. If you drive a PM while intoxicated and evade the test, you will be fined 130,000 won, and for bicycles, 100,000 won.

 

In order to easily convey the revised content to the public,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Road Traffic Authority are producing materials in the form of card news and distributing them through SNS channels such as the Road Traffic Authority website, Facebook, and Instagram.

 

An official from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said, “This revision of the law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effective responses to intentional evasive methods used by drunk drivers,” and added, “We will continue to do our best to improve the system and promote publicity to eradicate drunk driving.”

김정환 기자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