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 고민만 남은 교사들…존중은 사라지고, 부담만 남았다”

스승의 날 맞아 실시된 교사 설문조사에서 드러난 대전 교육 현장의 민낯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5/05/14 [15:23]

“사직 고민만 남은 교사들…존중은 사라지고, 부담만 남았다”

스승의 날 맞아 실시된 교사 설문조사에서 드러난 대전 교육 현장의 민낯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5/05/14 [15:23]

▲ 이직 또는 사직에 대한 질문 답변 분포도=대전교사노조 제공  © 김정환 기자


스승의 날을 맞아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 대전지역 교사 다수가 교직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며 사직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은 물론, 낮은 급여와 교권 침해까지 겹치며 교사들의 교육활동 환경은 심각한 위기에 놓여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교사노동조합연맹이 2025년 스승의 날을 맞아 전국 교사를 대상으로 지난 4월 23일부터 5월 7일까지 교직 만족도 및 교육현장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총 8254명이 응답한 가운데, 대전에서는 795명의 교사들이 참여해 지역 교육 현실을 생생하게 드러냈다.

 

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 내 사직을 고민한 경험이 있다는 대전 교사는 무려 61.1%에 달했다. 사직을 고민한 주된 이유로는 ‘교권침해 및 과도한 민원’(55.8%)이 가장 많았고, 그 뒤를 ‘낮은 급여’(34.7%), ‘과도한 업무’(19.1%)가 이었다. 주목할 점은 ‘낮은 급여’가 ‘과도한 업무’보다 더 큰 고민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사회적 존중이 사라지고 있다는 인식도 뚜렷했다. 대전 교사 10명 중 7명(70.1%) 이상이 교사가 사회적으로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2023년 서이초 교사 사망 사건 이후 드러난 교권 추락의 여파가 여전히 현장에 남아 있다는 평가다.

 

보수에 대한 불만도 상당했다. 

 

현재의 보수와 수당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83.1%에 달했으며, 교사 97.9%는 물가 상승에 맞춘 ‘물가 연동 보수체계’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교육 현장의 처우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교권 침해는 일상화된 문제로 나타났다. 대전 교사의 절반 이상이 최근 1년간 학생(56.1%)과 학부모(55.2%)로부터 교권 침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이 같은 침해를 방지하거나 해결할 제도적 장치는 여전히 미비한 상황이다. 

 

수업 방해 학생 분리 제도가 잘 운영되고 있느냐는 질문에 85.5%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으며, 민원 응대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응답은 단 13%에 그쳤다.

 

교육 정책에 대한 불신도 깊었다. 설문에 응한 대전 교사의 96.9%는 현 교육 정책이 예측 가능하지 않다고 평가했고, 96.5%는 일관성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교육정책의 불안정성이 교육의 질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교사들이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과제로는 ‘무고한 아동학대 신고 및 현장 체험학습 사고 등에 대한 교육활동 보호 대책 수립’(82.5%)이 꼽혔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교원 정원을 감축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82.1%가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 

 

단순히 학생 수에 따라 교사 수를 줄이는 현재의 방식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응이다.

 

이윤경 대전교사노조 위원장은 “교육활동 침해 문제는 3년 전부터 제기돼 왔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교사들이 구조적인 문제 속에 고통받고 있다”며 “교사들의 문제 제기를 단순한 불만으로 치부하지 말고, 제도적·사회적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교사의 교육활동이 존중받고, 학생의 교육권이 함께 보장될 때 비로소 교육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스승의 날을 앞두고 교직의 현실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단순한 기념일을 넘어 진정한 교권 회복과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행동이 필요한 시점임을 보여주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김정환 기자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