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 도시, 대전’을 만든다면서...모호함은...?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1/05/17 [14:43]

‘산소 도시, 대전’을 만든다면서...모호함은...?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1/05/17 [14:43]
▲ 2050 탄소중립 실현! 이색 아이디어 모집 홍보에 나선 대전시     © 김정환 기자


지난 4월 29일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기후변화법에 대해 역사적인 판결을 내렸다.

 

“온실가스 감축부담이 미래 세대에 일방적으로 이전돼서는 안 된다.”며 위헌을 결정했다. 2030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 관련 내용이 충분하지 않다며, 이를 “미래세대의 기본권 침해”라고 규정해 위헌판결을 내린 것이다.
 
이렇듯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는 탄소중립화는 이제 지구적 과제가 됐다. 우리나라도 2050년 탄소중립화에 도달하기 위한 국가결정기여(NDC)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30%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대전광역시도 9년도 채 남지 않은 2030년까지 탄소배출을 30% 줄이겠다고 선언했다. “삶이 건강한 산소 도시 대전을 만들겠다.”고 광고문구 같은 비전을 내걸면서 그랬다.

 

대전시는 또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할까요?’라는 주제로 5월 17일부터 한 달 동안 정책제안 플랫폼 ‘대전시소’에서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다고 17일 밝혔다.

 

‘탄소중립’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온도 상승의 마지노선인 1.5℃를 지키기 위해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제거하여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국제사회의 지향점이라고도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적시했다.

 

대전시는 지난 1월, ‘2050년 순탄소배출량 제로화’를 선언하면서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30% 감축과 2050년 순(純)배출량 0(zero) 달성을 목표로 건물, 수송, 에너지, 시민협력, 도시숲 조성 부문의 핵심전략을 마련했다며 언론에 홍보했다.

 

하지만 대전시의 이런 비전 제시는 최근의 대전열병합발전소 증설문제에 대비하면 립 서비스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절로 들게 한다.

 

대전열병합은 기존 113MW급 증기터빈발전에서 495MW급 복합화력발전으로 증설하는 내용의 집단에너지사업 변경을 산업자원부에 승인 요청했다. 이럴 경우 대전열병합이 밝힌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은 최소 미세먼지 10배, 질소산화물 7배, 온실가스 12배가 늘어난다.

 

이에 대한 산자부의 의견 제출을 요구받은 대전시는 주민과의 대화가 더 요구된다는 등의 애매한 기준을 제시하며 수용여부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찬성하는 듯 뉘앙스를 풍겨 인근 주민들의 반발을 자초하고 있다.

 

이런 대전시의 불명확한 태도는 최소한 탄소중립화를 위한 이산화탄소 감축목표를 스스로 무력화 하겠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현재 대전열병합발전소의 설비가동률은 평균 13%에 불과한데도 인근 지역에 열원이나 전력생산 공급 등에서 부족함이 없다.

 

따라서 대전열병합의 증설 승인요청은 원활한 에너지 수급 문제가 아닌 기업의 이익확대 등의 요인이 더 크다고 할 수밖에 없다. 위험은 사회화하고 이익은 사유화하는 전형적인 기업의 논리다.

 

시민은 환경오염에 건강이 나빠지더라도 기업은 돈을 벌면 된다는 얘기인 것이다. 그럼에도 대전시는 이를 똑떨어지게 반대한다는 의견을 내놓지 않고 있어 의혹을 사고 있다. 모든 이유를 떠나 탄소중립화를 위한 명분 하나로도 충분히 거부이유가 되는데도 말이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1위는 산업부문으로 총배출량의 37%를 차지하고, 2위는 전력(에너지)으로 36%, 3위는 수송부문으로 14%를 차지했다. 정부가 유엔에 제출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35%를 전력에서, 22%를 국외 및 산림에서, 15%를 수송에서, 11%를 산업에서 감축하겠다는 부문별 목표를 세웠다.

 

정부의 감축의지가 이럴진대 대전광역시의 모호한 태도는 산소도시는커녕 시민의 환경권도 지키지 못하는, 결정장애를 가진 무능한 지방정부라는 인식만을 심어주고 있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온실가스 감축을 기본권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연방의회에 “올해 말까지 2030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을 어떻게 할 것인지 구체화한 조항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이렇듯 온실가스 배출감소는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됐다. 기존의 온실가스 배출은 억제하고, 새로 발생하는 오염원은 봉쇄하는 정책적 행정적 단호함이 요구된다. 대전시의 어정쩡한 태도로는 미래세대의 기본권 사수는커녕 산소 도시도 만들 수 없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기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an English article translated from the above article with Google Translate.

                                                                 Reporter  Jeong-Hwan KIM

 

[He said that he created “Oxygen City, Daejeon”...]

 

On April 29,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issued a historic ruling on the climate change law. “The burden of GHG reduction should not be unilaterally transferred to future generations,” he decided unconstitutional. Since 2030, the content related to greenhouse gas reduction is insufficient, and it has been declared unconstitutional by defining it as “infringement of the basic rights of future generations”.
As such, carbon neutralization in response to the climate change crisis is now a global task. Korea also proposed a goal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30% by 2030 as a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to achieve carbon neutralization in 2050. Daejeon Metropolitan City also declared that it would reduce carbon emissions by 30% by 2030, less than nine years left. It did so with a vision like an advertisement saying, “I will make Daejeon, an oxygen city where life is healthy.”

Daejeon City also announced on the 17th that it will collect various opinions from citizens on the policy proposal platform'Daejeon Seesaw' for a month starting from May 17th under the theme of'What should we do to realize carbon neutrality in 2050?

'Carbon Neutral' means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hat cause global warming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keep 1.5℃, which is the magnificent line of increasing global temperature for human survival, and absorbing and removing the remaining greenhouse gases to reduce actual emissions to zero. It also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carbon neutrality as a new international community's aim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Daejeon City declared'zero net carbon emissions by 2050' in January, aiming to reduce carbon emissions by 30% by 2030 and achieve zero net emissions by 2050. It publicized to the media saying that it has prepared a core strategy for the creation of urban forests.

However, the presentation of such a vision in Daejeon makes it difficult to think that it is only a lip service in preparation for the recent issue of expansion of the Daejeon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Daejeon Cogeneration Co., Ltd. requested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to approve the change of the group energy business to expand the existing 113MW class steam turbine power plant to a 495MW class combined cycle power plant. In this case, the amount of environmental pollutants discharged by Daejeon Cogeneration will increase by at least 10 times for fine dust, 7 times for nitrogen oxides, and 12 times for greenhouse gases. Daejeon City, which was asked to submit opinions from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presents ambiguous standards such as requiring more dialogue with residents, and does not provide a clear answer on whether to accept or not.

Rather, it has a nuance that appears to be in favor, and is inviting a backlash from nearby residents.

This unclear attitude of Daejeon is no different from saying that at least it will neutralize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target for carbon neutralization by itself. Currently, the facility operation rate of the Daejeon Cogeneration Power Plant is only 13% on average, but there is no shortage in the supply of heat sources or power generation to nearby regions.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the request for approval for the expansion of Daejeon Cogeneration is not a problem of smooth energy supply and demand, but rather a factor such as expansion of corporate profits. It is the typical corporate logic of socializing risk and privatizing profits. It means that citizens can make money even if their health is deteriorating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Nevertheless, the city of Daejeon is suspicious because it does not express an opinion that it is against it. Regardless of all the reasons, even one justification for carbon neutralization is a reason for rejection.

As of 2017, Korea's GHG emissions by sector ranked first in the industrial sector, accounting for 37% of total emissions, the 2nd in electricity (energy) with 36%, and the 3rd in transportation with 14%. The GHG reduction targets submitted by the government to the United Nations set sector-specific targets to reduce 35% in electricity, 22% in foreign countries and forests, 15% in transportation, and 11% in industry by 2030. Daejeon Metropolitan City's ambiguous attitude, when the government's will to reduce it, is not only an oxygen city, but a perception that it is an incompetent local government with a deterministic barrier that cannot protect the environmental rights of citizens.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emphasized the need to recognize greenhouse gas reduc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s a fundamental right. At the same time, he ordered the federal parliament to "make a provision specifying how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fter 2030 by the end of this year." In this way,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became a fire that fell on the foot. Policy and administrative resoluteness is required to suppress exis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block new pollutants. With Daejeon City's sane attitude, it is not possible to create a city of oxygen, let alone defending the basic rights of the future generation.

 
광고
광고
칼럼 많이 본 기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