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명리 칼럼] ⑭ “육해살(六害殺),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비극은 불가항력'처럼 찾아오지만 절대로 '우리 삶의 모든 것'은 아니다
시공명리학 칼럼 14번째 이야기에서는 12신살 중 육해(六害)가 어떠한 방식으로 반응하는지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우리는 인오술 삼합(寅午戌 三合)의 색계(色界)를 살기에 인목(寅木)에서 물질을 만들고자 출발하고 오화(午火)에서 가장 풍요로워졌다가 유금(酉金)에서 결과물을 수확한 후 술토(戌土) 묘지(墓地, 화개)에 저장한 후 해수(亥水)로 넘어가 윤회를 시작합니다.
따라서 육해(六害) 유금(酉金)을 씨종자라 부르기에 조상의 업보이자 전생의 나와 다를 바 없습니다. 결국 육해(六害)는 삶과 죽음의 경계와 같아서 다양한 물상으로 발현되는데 특히 정신적 방황, 주위인연과의 단절, 육체 손상’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모친이나 모친의 주위 사람들이 고독해지거나 심하면 사망할 수 있습니다. 일간 본인도 정해 일주(丁亥 日柱)로 어두운 바다의 등대와 같아서 고독하고 쓸쓸한데 대운마저도 해자축(亥子丑)으로 흘러 길을 잃기 쉽습니다.
어린 시절에 모친이 하숙집을 운영하였는데 하숙생 2명이 연이어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하숙집을 포기하고 일수 업으로 전향하였다고 합니다. 20세 무렵에는 모친이 일수를 받고자 버스에서 내리다 한쪽 다리가 끼인 상태로 한 코스가량 끌려가 그 자리에서 즉사했다고 합니다. 이 일로 날마다 술로 연명하며 새벽에 모친 산소를 찾는 등 기괴한 행동을 보였고, 술만 마시면 주변 지인들을 못살게 굴고 부친을 폭행하는 등 패륜 행위도 서슴지 않았다고 합니다.
술을 마시면 오화(午火), 정화(丁火) 육해에 자극 받은 신금(辛金)이 총알처럼 해수(亥水)에 풀어지기에 갑자기 돌변하여 월간 갑목(月干 甲木)을 폭력적으로 대하기에 문제입니다. 불필요한 수기(水氣)를 제거하여 정화(丁火) 자신을 돕는 역할임에도 술이 들어가면 인사불성으로 부친을 화풀이 대상으로 여겼던 겁니다. 이처럼 사주팔자에 있는 육해(六害)의 작용이 흉하면 주위에 불행한 일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모친은 참혹한 변을 당했고 본인도 인사불성의 인생을 살았습니다.
우리는 이런 상황에 처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살충돌, 정신적 방황, 우울증을 야기 시키는 육해의 특징을 이해하고 종교, 명리, 철학, 학문을 통하여 어둠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비극은 불가항력처럼 찾아오지만 절대로 우리 삶의 모든 것”은 아닙니다. 만약 그가 모친의 죽음을 ‘비극’으로만 받아들이지 않고 ‘내면의 성찰’을 통하여 삶의 의미를 찾으려고 노력했다면 그는 지금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방황에서 벗어나 삶의 의미에 손을 내미는 것, 그것이 곧 자신의 인생을 조각해가는 방식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는 “Man is nothing else but what he makes of himself.(인간은 자신이 만들어낸 것 외에는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인간은 미리 정해진 본질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선택과 행동을 통해 본질을 만들어 간다는 것입니다.
[칼럼니스트 유진 소개] *동양철학 전공, 사주타로마스터, 타로심리상담사 1급 *다문화사회전문가, 명리학 전문과정 수료, 시공명리학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 the 14th story of the Time and Space Myungrihak column, we will examine how the six harms (六害) of the 12 godsal (六害) react. Since we live in the world of color (色界) of In-O-Sul Sam-Hap (寅午戌 三合), we start by creating material from In-Mok (寅木), become most abundant in Oh-Hwa (午火), harvest the results from Yoo-Geum (酉金), store them in the graveyard (墓地, Hwagae) of Sool-To (戌土), and then move on to Hae-Su (亥水) to begin reincarnation.
Therefore, the six harms (六害) Yoo-Geum (酉金) are called the seed, and are no different from the karma of our ancestors and our previous lives. In the end, the six harms (六害) are like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and are expressed in various material forms, especially mental wandering, disconnection from people around us, and physical damage. The above four pillars are based on the year of the pig, and the monthly branch Ohhwa (月支 午化) and daily stem Jeonghwa (日干 丁火) correspond to the six harms and deaths (六害殺). In particular, the monthly branch (月支) is the mother, and the year and day's 亥水 binds the Ohhwa (午火) into Amhap (午亥 暗合), so it is as if the grim reaper is tying up the mother from both sides.
Therefore, the mother or those around the mother may become lonely or, in severe cases, die. The daily pillar of the mother is also 丁亥, and is like a lighthouse in the dark sea, so it is lonely and desolate, and even the great fortune flows to Haejachuk (亥子丑), making it easy to lose one's way.
When he was young, his mother ran a boarding house, but when two boarders committed suicide one after another, he gave up the boarding house and turned to day labor. When he was around 20, his mother got off a bus to collect his daily wages, and was dragged for about a course with one leg caught, and died on the spot.
As a result, he lived off of alcohol every day and showed strange behaviors such as visiting his mother's grave at dawn. He also did not hesitate to commit unfilial acts such as making people around him miserable and assaulting his father when he drank.
When he drinks, the 辛金 stimulated by the 午火 and 丁火 午火 辛金 is released into the 亥水 like a bullet, so it suddenly changes and violently treats the monthly 干 甲木, which is a problem. Even though it was supposed to help Ding-Hwa himself by removing unnecessary water energy, he would lose consciousness when he drank alcohol and would take out his anger on his father. If the effects of the six harms in the four pillars of destiny are bad, unfortunate events can occur around him. For this reason, his mother suffered a terrible accident and he himself lived a life of unconsciousness.
What should we do when we are in this situation? We sh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 harms that cause suicidal conflict, mental wandering, and depression, and make efforts to escape the shackles of darkness through religion, fortune telling, philosophy, and academics.
“Tragedy comes like an unavoidable force, but it is not everything in our lives.” If he had not accepted his mother’s death as a ‘tragedy’ but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inner reflection,’ what would he be like now? I think that escaping from wandering and reaching out to the meaning of life is the way to carve out one’s own life.
Jean-Paul Sartre said, “Man is nothing else but what he makes of himself.” Man is not a being with a predetermined essence, but creates his essence through his own choices and actions.
[Columnist Eugene Introduction] *Oriental Philosophy Major, Sajoo Tarot Master, Level 1 Tarot Psychology Counselor *Multicultural Society Specialist, Completed a specialized course in Myeongrihak, Time and Space Myeongrihak(시공명리학)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대전세종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진 명리학칼럼니스트
rkf110625@naver.com
![]() |
유진의 '시공명리로 보는 세상 이야기'
유진의 '시공명리로 보는 세상 이야기'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