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군, 복지사각지대 고위험 가구 전수조사 착수

고독사 예방·폭염 대비 ‘위기 이웃 찾기 3차 발굴’…중앙시스템·지역 밀착망 총동원

정지완 기자 | 기사입력 2025/07/04 [15:45]

금산군, 복지사각지대 고위험 가구 전수조사 착수

고독사 예방·폭염 대비 ‘위기 이웃 찾기 3차 발굴’…중앙시스템·지역 밀착망 총동원

정지완 기자 | 입력 : 2025/07/04 [15:45]

▲ 금산군청 전경     © 정지완 기자

 

고립된 삶의 끝자락에 선 이웃을 외면하지 않기 위해, 충남 금산군이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대대적인 위기 가구 발굴에 나섰다. 

 

단전·단수, 건강보험료 체납 등 위기 징후가 포착된 1인 가구와 주거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전수 조사는 7월 현재 3차 일정에 돌입했다.

 

군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보건복지부의 중앙위기발굴시스템을 통해 선별된 147가구를 중심으로 우선 진행된다. 고독사나 갑작스러운 건강 악화, 고립된 생활로 인한 위험 가능성이 높은 대상이다. 

 

군은 이와 병행해 마을 이장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집배원 등 지역 기반 협력망을 통해 자체 발굴 활동도 확대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연 6차례에 걸쳐 진행되는 정례 사업의 일환으로, 특히 폭염과 집중호우가 잦은 여름철을 앞두고 추진되는 만큼, 현장 대응과 선제적 보호 조치가 핵심이다. 

 

조사 대상에는 전기·가스·수도 요금 체납으로 인한 단전·단수 가구, 관리비 연체가 장기화된 공동주택 거주자,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된 가구, 정책 서민금융 신청에서 탈락한 고위험군 등도 포함된다.

 

군은 총 47개 유형의 위기 정보를 데이터화해 선별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고용 상실, 중증질환, 가족 해체, 복지급여 미수급 등 사회·경제적 위험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사례들이 다수다.

 

현장 조사는 각 읍·면 찾아가는 복지팀과 함께 진행되며, 전화 상담과 가정방문이 병행된다. 특히 65세 이상 독거노인과 등록장애인, 의료급여 및 차상위계층 신청자 가운데 급여 대상임에도 미신청 상태인 가구는 권리구제 차원에서 집중 발굴 대상이다.

 

금산군 관계자는 “최근 고독사 사례와 주거취약계층의 생활 위기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번 발굴을 통해 위기 가구를 조기에 발견하고 긴급 복지와 민간 자원, 복지서비스를 신속하게 연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앙발굴시스템과 지역 밀착형 발굴을 병행해 소외된 이웃이 없도록 세심하게 살피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금산군은 지난해에도 위기 가구 400여 세대를 발굴해 복지서비스를 연계한 바 있으며, 올해는 고위험군 중심의 선제적 발굴로 사각지대 해소에 더욱 속도를 낼 계획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 order not to ignore neighbors who are on the edge of their isolated lives, Geumsan-gun, Chungcheongnam-do, has embarked on a large-scale search for crisis households to eliminate blind spots in welfare.

 

The comprehensive survey targeti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vulnerable housing groups with signs of crisis, such as power outages, water outages, and unpaid health insurance premiums, has entered its third schedule as of July.

 

According to the county, this survey will be conducted primarily on 147 households selected throug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central crisis search system. These are the targets of high risk of death from loneliness, sudden deterioration of health, and isolated living.

 

In parallel, the county is also expanding its own search activities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networks such as village chiefs, community security councils, honorary social welfare workers, and postmen.

 

This survey is part of a regular project conducted six times a year, and since it is being conducted ahead of the summer season, when heat waves and heavy rains are frequent, on-site response and preemptive protective measures are key.

 

The subjects of the investigation include households that have experienced power outages or water cuts due to non-payment of electricity, gas, and water bills, residents of apartment complexes with long-term management fee arrears, households that have switched from jeonse to monthly rent, and high-risk groups that have been eliminated from applying for policy microcredit financing.

 

The county is digitizing a total of 47 types of crisis information and using them as selection criteria. There are many cases where social and economic risk factors such as loss of employment, serious illness, family breakdown, and non-receipt of welfare benefits are intertwined.

 

The on-site investigation is conducted with the welfare team visiting each town and township, and telephone consultations and home visits are conducted in parallel. In particular, households that are eligible for benefits but have not applied among the elderly over 65 years of age living alone, registered disabled people, and medical care and low-income applicants are being intensively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ir rights.

 

A Geumsan County official said, “Recently, cases of deaths from loneliness and the living crisis of the housing vulnerable class have emerged as social issues,” and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plan to discover crisis households early and quickly connect them with emergency welfare, private resources, and welfare services.”

 

He continued, “We will closely monitor the central excavation system and local excavation in parallel to ensure that no neighbors are left out.”

 

Meanwhile, Geumsan County excavated about 400 households in crisis last year and linked them to welfare services, and this year, it plans to further accelerate the resolution of blind spots through preemptive excavation centered on high-risk groups.

정지완 기자
 
충남 금산군, 금산군, 금산 복지사각지대 발굴, 금산군 위기가구 조사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