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적한 들녘 그림의 색, 그리고 향기가

구스타브 카유보트

솔향 김종태 | 기사입력 2025/07/03 [21:28]

한적한 들녘 그림의 색, 그리고 향기가

구스타브 카유보트

솔향 김종태 | 입력 : 2025/07/03 [21:28]

 

  © 솔향 김종태


날이 더워 서울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미술관 전시를 뒤로 미루고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편안히 즐길 수 있는 연산 문화 창고 전시관에서 레플리카 전으로 열리고 있는 구스타브 카유보트 전시회로 향했다.

 

  연산 문화창고 전시장

 

늘 다니는 길이지만 계절에 따라 감정의 변화에 따라 그 길은 흔들리며 이어진다. 초록이 깊고 연산 천 휘도는 물은 수위가 있다. 계백의 숨결이 닿았던 이 들녘과 물길은 황새들이 터전을 내려 날개 짓 할 때 공허한 시선의 동공을 열리게 한다. 그 길을 돌아서면 영화에서 본 듯한 작고 정겨운 연산역과 문화 창고가 보인다. 이곳은 집에 오는 손님들에게 하는 자랑거리 중 하나이다.

 

인상주의 시대의 잘 알려지지 않은 보석 같은 화가라는 사전 정보는 있었지만, 생소한 이름이라 큰 기대가 없었는데 실제로 마주한 그의 작품들은 단순한 인상주의를 넘어선 깊은 사색과 시대를 향한 날카로운 시선을 담은 작품들로 울림을 주었다.

 

  리처드갈로와 그의 강아지/ 푸른강이 흐르는 자연에서의 산책

 

그의 화풍은 인상주의의 자유로운 붓놀림보다는 사실주의에 가깝다. 원근감, 구도, 빛의 활용은 공학자다운 치밀함이 느껴진다. 동시에 그는 도시의 변화 속에서 소외되고 반복되는 인간의 삶을 깊은 시선으로 포착했다.

 

그의 대표작 파리의 거리, 비 오는 날에서 우산을 쓴 채 걷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도시의 활기찬 모습 뒤에 숨겨진 개인의 고립감을 절묘하게 표현했다고 한다.

 

사람들은 함께 있지만, 서로에게 무관심한 채 각자의 세계에 갇혀 있는 듯, 이는 급변하는 도시 속에서 개인이 느끼는 소외감과 현대인의 익명성을 카유보트만의 시선으로 해석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오는 날의 파리거리 / 노동자들의 고달픔, 현대화된 도시의 차가움

 

 

전시회를 통해 카유보트가 단순히 부유한 취미 화가가 아닌, 시대를 통찰하고 인간 내면을 탐구한 진지한 예술가였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작품 속 인물들은 종종 어딘가 모르게 우울하거나 사색에 잠겨 있다. 밝은 빛과 색채 속에 감춰진 그림자처럼, 그의 그림에는 개인의 고뇌와 쓸쓸함이 녹아 있다.

 

 

그는 당시 비주류였던 인상파 화가들의 작품을 대량으로 구매하고 전시회를 후원했다. 모네, 드가, 르누아르 등의 작품이 세상에 알려지는 데 중요한 가교 역할을 했는데 오늘날 우리가 인상주의라 부르는 예술이 꽃필 수 있었던 것은 카유보트의 조용한 후원이 있었기 때문이란다.

 

카유보트는 결코 말이 많지 않았던 예술가였다. 그의 그림은 설명보다 시선과 구조로 말한다. 마치 우리가 특별한 순간보다 말없이 흘려보내는 하루의 순간들처럼. 반복되는 일상에서 의미를 찾는 것이 예술이 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대패질하는 사람들/ 노동자들의 현실적인 모습을 그리다

 

 ‘그림의 색, 그리고 향기프루스트 효과를 위하여 작품마다 조향사가 조향한 향수가 놓여있어 그림을 눈으로 보고 향기로 기억하는 색다른 향기의 순간들로 기획 전시되었다.

 

집에서 바라보는 역사가 담긴 산과 들, 길 따라 물길 따라 흐르는 시간,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가득한 연산 문화창고, 조용히 오래 머물며 즐길 수 있는 전시회, 시시각각 변하지 않는 고요를 날개 짓으로 동적으로 바꿔주는 황새, 시골에서의 소리 없는 일상이 푸르게 느리게 흘러가고 있다.

 

그림에서 조용한 시선은, 오늘도 우리에게 말한다.

당신의 일상도 예술이 될 수 있습니다.” ( 솔향 김종태 )

 

  황산성의 아침


< 솔향 김종태 약력 >

픽모아문화관광뉴스 회장

대전 바둑협회 부회장

동구, 대덕구축제위원회위원, 위원장

대전세종연구원소비자자문위원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경영혁신위원

대전킥복싱협회고문/ 스포츠공정위원

대전척수장애인협회 허브센터장

CMB대전방송 /TRA미디어위원

대전폴리텍대학홍보대사

`93대전엑스포동우회 간사

브레이크뉴스/원데일리뉴스 논설고문

대전관광공사이사회의장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weather was hot, so I postponed the exhibition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Art Museum in Seoul and headed to the Gustave Caillebotte exhibition, which was being held as a replica exhibition at the Yeonsan Cultural Warehouse Exhibition Hall, which is not far from my house and can be enjoyed comfortably.

 

It is a road I always take, but the road continues shaking depending on the change of emotions depending on the season. The green is deep, and the water of Yeonsancheon has a water level. These fields and waterways where Gyebaek’s breath touched open the pupils of empty gazes when storks settle down and flap their wings. When I turn around the road, I see the small and cozy Yeonsan Station and Cultural Warehouse, which seem to have been seen in movies. This is one of the things I brag about to guests who come to my house.

 

I had prior information that he was a little-known gem of an artist from the Impressionist era, but I didn’t have high expectations because it was an unfamiliar name. However, the works I actually encountered resonated with me as works that contained deep contemplation and a sharp gaze toward the times that went beyond simple Impressionism.

 

His painting style is closer to realism than the free brushwork of Impressionism. The use of perspective, composition, and light is meticulous, like that of an engineer. At the same time, he deeply captured the alienated and repetitive human lives in the midst of urban change.

 

In his masterpiece, A Street in Paris, It is said that he exquisitely expressed the sense of isolation of individuals hidden behind the lively appearance of the city through the image of people walking with umbrellas.

 

People are together, but they seem to be indifferent to each other and trapped in their own worlds. This is thought to be Caillebotte’s unique interpretation of the alienation and anonymity of modern people in a rapidly changing city.

 

Through the exhibition, we can see that Caillebotte was not simply a wealthy hobbyist painter, but a serious artist who had insight into the times and explored the inner self of humans. The characters in his works are often gloomy or lost in thought. Like shadows hidden in bright light and colors, his paintings are filled with personal anguish and loneliness.

 

He purchased works by the then non-mainstream Impressionist painters in large quantities and sponsored exhibitions. It is said that the works of Monet, Degas, and Renoir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bridge for the world to know them, and that the art we call ‘Impressionism’ today was able to flourish because of Caillebotte’s quiet support.

 

Caillebotte was never an artist who spoke much. His paintings speak with gaze and structure rather than explanation. Just like the moments of a day that we pass by without saying a word rather than special moments. It tells us that finding meaning in repetitive daily life can become art.

 

‘Color and scent of paintings’ For the Proust effect, perfumes mixed by a perfumer were placed in each work, and the exhibition was planned as a unique ‘moment of scent’ where you can see the paintings with your eyes and remember them with your scent.

 

Mountains and fields with history seen from home, time flowing along the road and waterway, Yeonsan Cultural Warehouse filled with the laughter of children, an exhibition where you can quietly stay for a long time and enjoy, a stork that dynamically changes the unchanging silence with the flapping of its wings, the silent daily life in the countryside flows slowly and greenly.

 

The quiet gaze in the paintings speaks to us even today.

“Your daily life can also be art.” (Solhyang Kim Jong-tae)

 

<Solhyang Kim Jong-tae Biography>

President of Pickmore Culture and Tourism News

Vice President of Daejeon Baduk Association

Dong-gu, Daedeok-gu Festival Committee Member, Chairman

Consumer Advisory Committee of Daejeon Sejong Research Institute

Management Innovation Committee of Daejeon Information and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Advisor of Daejeon Kickboxing Association/Sports Fair Committee

Director of Hub Center of Daejeon Spinal Cord Injury Association

CMB Daejeon Broadcasting/TRA Media Committee

Public Relations Ambassador of Daejeon Polytechnic University

Secretary of ‘93 Daejeon Expo Alumni Association

Editorial Advisor of Break News/One Daily News

Former 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of Daejeon Tourism Organization

 

 

 

 

솔향 김종태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