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를 가로 흐르고 있는 금강과 공주시민 휴식 공간인 금강신관공원은 이름만 공원일 뿐, 명백한 국가하천구역에 속한다.
해당 지역은 '하천법 제8조 및 제27조'에 따라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며, 공공의 이익이 아닌 사적 이익을 위한 점용이나 사용 시 반드시 관할 하천관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는 단순한 행정적 절차가 아니라 공공 자산의 무단 사적 이용을 방지하고, 하천의 환경·안전·보전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안전장치다.
그러나 공주시는 이 기본조차 무시했다.
지난 5월, 공주시는 금강신관공원 일부을 어떠한 법적 허가도 없이 민간이 수익사업을 할 수 있도록 셀프 점용허가를 받아 제공하는 초법적인 행정을 해 비난을 사고 있다.
공주시로부터 하천부지를 사용하도록 승인을 받은 민간 업체는 이곳에서 중소기업제품 박람회를 열면서 부스 한 개당 100만 원에서 150만 원의 사용료를 챙기는 방식으로 수익을 챙겼다.
이 부분에 대한 경찰 수사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역의 한 언론은 이들이 받아 챙긴 부스 임대료를 최대 1억 원이 넘는 다고 보도한 바 있다.
유료 부스 운영 등 명백한 ‘사적 영리행위’가 이뤄졌지만, 계약서 한 장 없이 장소가 제공됐다.
명분은 그럴듯했다. “500만 원의 고향사랑기부금을 유치했고, 지역 업체가 참여했기 때문에 공공성 있는 행사였다.” 는게 공주시 관계자의 주장이다.
그러나 실체는 부실하고, 논리는 위험하며, 행정은 무책임했다.
문제는 하나둘이 아니다.
하천법 위반 소지가 매우 크다.
하천구역 내 공공시설을 민간 업체가 영리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하천법 제27조에 따라 금강유역환경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공주시는 이를 완전히 무시한 채, 500만 원의 기부금을 받은 것으로 '공공의 이익'으로 포장하면서 셀프 점용허가를 받은 하천구역을 민간이 돈벌이에 사용하도록 한 행위를 정당화 했다.
국가하천에서는 공공의 목적이 아니면 점용허가를 받을 수 없다.
그런데 공주시는 특정인을 지원하기 위한 묘수를 생각 했고, 그 묘수가 셀프 점용허가 였다.
공주시 교육체육과는 하천을 관리하고 있는 건설과에 하천 점용허가를 신청했다.
목적은 공주 우수중소기업과 농수산물박람회를 개최 한다는 이유를 들어 점용허가를 받아냈다.
점용허가 과정에 대한 뒷 말도 무성하다.
하천점용을 담당하고 있는 건설과에서 교육체육과의 점용허가 신청이 공공의 이익과 거리가 멀다는것을 모를리 없었지만 무슨 이유에서 였는지 점용허가를 내줬다.
건설과로부터 하천점용허가를 받은 교육체육과는 별도의 계약이나 절차를 무시하고 민간 업자들이 돈벌이를 할 수 이도록 점용 받은 하천부지를 사용하도록 했다.
관련 법을 위반한 것으로 불법에 해당한다는 지적이다.
하천법 제33조(하천의 점용허가 등) 5항에는 하천 점용허가를 받은 자는 해당 허가를 받아 점용하고 있는 토지 또는 시설을 다른 사람에게 임대하거나 전대(轉貸)해서는 아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다만,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하천관리청의 승인을 받아 임대하거나 전대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공주시는 이러한 절차를 처음부터 지키지 않으면서 스스로 법을 지키지 않는 '불법 공주시'라는 오명을 썼다.
또한 하천법 시행규칙 제18조의2(하천점용허가를 받은 토지 또는 시설의 임대ㆍ전대) 법 제33조제5항 단서에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국유재산ㆍ공유재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천점용허가를 받은 목적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공공의 이익 증진을 위해 '국유재산법' 또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 따라 사용허가 또는 사용ㆍ수익허가하는 경우로 공공의 이익 증진을 강조했다.
대법원 판례나 국토교통부 유권해석에 따르면, "공공의 이익"은 국민 다수의 권리나 이익을 보호하거나 증진하려는 목적이 있어야 하며, 특정 단체의 이익에 치중하는 경우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하천법 시행규칙에서 말하는 "공공의 이익"은 “하천 공간의 사용이 다수 시민 또는 지역사회의 복리를 증진하기 위한 목적이어야 하며, 사적 이익이나 상업적 목적이 우선되는 경우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공주시는 절차와 과정을 생략하고, 초법적인 행정을, 그것도 특정인의 사익을 채워주기 위해 들러리 행정을 편것 아니냐는 비난을 자초했다.
공주시가 왜?
무엇 때문에?
누구를 위해?
이러한 무리수를 두면서 까지 불법행정를 자행 했는지 경찰 수사를 통해 반드시 규명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원철 공주시장은 문제가된 셀프점용 하천부지를 돈벌이에 사용하도록 한 불법 사용 승락에 이해관계가 없다면 이제라도 사실관계를 명확히 조사해 시행 과정에서 불법이나 편법이 있었다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중한 문책을 해야 할 것이다.
최원철 시장은 공공의 자산을 특정 민간 사업자를 위해 불법적으로 제공하고, 계약도, 복구 예치금도, 책임도 없는 행정을 한 주체들을 봐주기로 일관 한다면, 세간에 떨돌고 있는 시장과 관련된 소문이 사실로 귀결된다는 여론에 귀를 귀울여야 한다.
차제에 경찰은 관련 사안에 대한 사실관계를 정확히 판단하고, 위법행위에 대한 엄중하고도 단호한 법적용을 통해 공직기강을 바로세워 그 누구도 법 위에 군림할 수 없다는 진리를 증명해야 할 것이다.
이제는 최원철 공주시장이 답해야 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vestigative Column] Gongju City has thrown away both law and responsibility on the ‘Geumgang River’
Geumgang River, which flows through Gongju City, and Geumgang Shingwan Park, a resting place for Gongju citizens, are parks in name only, but they clearly belong to the national river area.
The area is managed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according to ‘River Act Article 8 and Article 27’, and any occupation or use for private interests rather than public interests must receive permission from the relevant river management office. This is not a simple administrative procedure, but the minimum legal safety measure to prevent unauthorized private use of public assets and to protect the environment, safety, and conservation of the river.
However, Gongju City has ignored even this basic rule.
Last May, Gongju City was criticized for its illegal administrative action of providing a self-occupancy permit for a portion of Geumgang Shingwan Park to the private sector for profit-making businesses without any legal permission.
A private company that received approval from Gongju City to use the riverbed land made profits by holding a small business product fair here and charging a usage fee of 1 million to 1.5 million won per booth.
It is pointed out that a police investigation into this matter is absolutely necessary.
A local media outlet reported that the booth rental fee they received was over 100 million won.
Although there were clear ‘private profit-making activities’ such as operating paid booths, the location was provided without a single contract.
The justification was plausible. “We attracted 5 million won in hometown love donations, and it was a public event because local companies participated,” is the argument of Gongju City officials.
However, the substance is flawed, the logic is dangerous, and the administration was irresponsible.
The problems are not limited to one or two.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of violating the River Act.
If a private company uses public facilities in a river area for profit, it must obtain permission from the head of the Geumgang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according to Article 27 of the River Act.
However, Gongju City completely ignored this and, by packaging it as a ‘public interest’ by receiving a donation of 5 million won, justified the act of allowing the private sector to use the river area for which it had received a self-occupancy permit for making money.
In national rivers, an occupation permit cannot be obtained unless it is for a public purpose.
However, Gongju City came up with a clever way to support a specific person, and that clever way was the self-occupancy permit.
Gongju City Education and Sports Department applied for a river occupation permit to the Construction Department, which manages the river.
The purpose was to hold the Gongju Excellent SME and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Expo, and the permit was granted.
There are also many rumors about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occupation permit.
The Construction Department in charge of river occupancy could not have been unaware that the Education and Sports Department’s application for a permit for occupancy was far from the public interest, but for some reason, they granted the permit.
The Education and Sports Department, which received a permit for river occupancy from the Construction Department, ignored any separate contracts or procedures and allowed private businesses to use the river land they occupied to make money.
It is pointed out that this is illegal as it violates the relevant laws.
Article 33 (Permit for Occupancy of Rivers, etc.) Paragraph 5 of the River Act stipulates that a person who has received a permit for river occupancy shall not lease or sublease the land or facilities occupied with the permit to another person.
However, in cases where it falls under the reasons stipul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rdinance, it is stipulated that it may be leased or subleased with the approval of the River Management Office.
However, Gongju City has not followed these procedures from the beginning, earning itself the stigma of being an “illegal Gongju City” that does not follow the law.
In addition, Article 18-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River Act (Lease/Sublease of Land or Facilities with River Occupancy Permit) of Article 33, Paragraph 5, Proviso emphasizes the promotion of public interest by stating that “reasons prescribed by the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 cases where a state or local government grants permission to use or grants permission to use/profit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Property Act’ or the ‘Public Property and Goods Management Act’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urpose of obtaining a river occupation permit.
According to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authoritative interpretations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ublic interest” must have the purpose of protecting or promoting the rights or interests of the majority of citizens, and cases where it focuses on the interests of a specific group are not permitted.
In conclusion, the “public interest” referred to i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River Act is that “the use of river space must be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welfare of a majority of citizens or the local community, and cases where private interests or commercial purposes take precedence do not apply.”
Nevertheless, Gongju City has invited criticism that it has omitted procedures and processes, carried out extra-legal administration, and that it has carried out administration in order to satisfy the private interests of a certain person.
Why did Gongju City?
For what?
For whom?
It seems that the police investigation must clarify why it committed such an illegal act.
If Mayor Choi Won-cheol of Gongju has no interest in the illegal use of the problematic self-occupied river land for money-making, he should investigate the facts clearly now, and if there were any illegalities or irregularities in the process, he should be held strictly accountable regardless of position.
If Mayor Choi Won-cheol continues to overlook those who illegally provided public assets to a certain private business operator and carried out administration without contracts, restoration deposits, or responsibility, he should listen to public opinion that the rumors about the mayor that are circulating in the world will turn out to be true.
At this time, the Chungnam Provincial Police Agency should accurately judge the facts of the relevant case and, through strict and firm application of the law to illegal acts, rectify public service discipline and prove the truth that no one can reign above the law.
Now, Gongju Mayor Choi Won-cheol must answer.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대전세종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정환 기자
djbreaknews@naver.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