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맹학교, 시각장애 학생들 ‘화면해설 감수' 첫 발

대전 동구청 지원금으로 전국 최초 운영...“보이지 않는 장면을 함께 상상하게 만드는 일”

정지완 기자 | 기사입력 2025/05/29 [16:31]

대전맹학교, 시각장애 학생들 ‘화면해설 감수' 첫 발

대전 동구청 지원금으로 전국 최초 운영...“보이지 않는 장면을 함께 상상하게 만드는 일”

정지완 기자 | 입력 : 2025/05/29 [16:31]

▲ 대전맹학교 고등부 3학년에 재학 중인 최명호 군이 '화면해설 콘텐츠 품질 향상'을 위해 화면을 듣고 점자를 읽으며, '시각장애인 당사자 감수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 정지완 기자

 

대전맹학교 시각장애 학생들이 화면해설의 감수자이자 제작자로 나섰다. 콘텐츠 수용자에서 비평가, 나아가 창작자로 역할을 확장하며, 정보접근권 보장의 구조를 바꾸고 있다. 전국 최초로 학교 안에서 시작된 이 실험은 장애인 미디어 참여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장면이 정확하게 설명되면, 우리도 영화나 드라마의 감동을 똑같이 느낄 수 있어요.”

 

대전맹학교 고등부 3학년 최명호 군(20)은 최근 화면해설 콘텐츠 감수 교육을 마치고 본격적인 모니터링 작업에 돌입했다. 그가 활동 중인 ‘화면해설 감수 동아리’는 대전 동구청 교육경비보조금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전국 최초의 교내 시각장애인 감수자 양성 프로젝트다.

 

10명으로 구성된 이 동아리는 학생과 교직원이 함께 참여하며, 교육과 실습을 병행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이들은 단순히 교육 수혜자가 아닌, ‘화면해설의 품질을 결정하는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화면해설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기반 정보전달 기술이다. 등장인물의 표정 변화, 배경 전환, 동작 등 시각적 요소를 음성으로 설명해 콘텐츠의 의미를 전달한다. 문제는 이 설명이 실제 시청자의 인지와 필요를 정확히 반영하느냐는 것이다.

 

최 군은 “자막은 있는데 해설이 없는 장면들이 많다. 어떤 때는 중요한 장면이 그냥 지나가 버린다”며 기존 화면해설의 한계를 지적했다. 실제로 방송통신위원회가 지상파와 종편에 화면해설 편성 비율 확대를 의무화하고 있지만, ‘시각장애인 당사자 감수’는 아직 선택사항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이 동아리의 출발은 단순한 교육 활동이 아닌, 콘텐츠 품질 통제를 위한 제도적 보완점을 마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동아리는 이론 교육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콘텐츠 제작 훈련까지 포괄한다. 대전영화교육연구회 ‘씬세계’의 지원을 받아, 학생들은 연말까지 단편 영화에 직접 화면해설을 제작하고, 이를 교내 상영회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동아리는 '배리어프리 영화 모니터링, 베리어프리 키오스크 체험, 촉각 전시 관람, 화면해설 작가 및 감수자 특강' 등 입체적 커리큘럼을 통해 감수자와 제작자로서의 감각을 기른다. 이는 곧, 미디어 비평 역량과 직업 진출 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발판이 된다.

 

한편 대전시청자미디어센터와의 협업을 통해 대전맹학교 도서관에서는 매월 배리어프리 영화 상영회와 미디어 비평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동시관람 장비도 도입되어 실시간 해설을 지원한다.

 

올 하반기에는 보다 전문화된 교육 프로그램인 '화면해설 감수 인력 양성과정'도 10차시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는 지역 기반의 전문 인력 양성 인프라 구축 시범사업으로 해석될 수 있다.

 

최 군은 스스로를 ‘해설의 청자’에서 ‘해설의 감정자’로, 그리고 ‘창작자’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한다. “장면을 어떻게 말로 설명하면 좋을지를 고민하는 일이 이렇게 재미있는 줄 몰랐어요. 보이지 않는 걸 대신 말해주는 사람이 된다는 건 책임감이 큰 일이에요.”

 

문성준 교장은 “서울과 부산을 제외하면 여전히 화면해설 콘텐츠 제작 여건이 열악한 지역이 많다”며 “대전맹학교의 시도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모든 이들이 동등하게 정보를 접하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보접근권은 단지 콘텐츠를 ‘보여주는 것’만으로는 완성되지 않는다. 그것은 당사자가 정보를 어떻게 해석하고 소비할 수 있느냐의 문제다. 그런 의미에서 대전맹학교의 이 동아리는 정책의 사각지대를 실천으로 메우는 첫 시도이며, 장애인 미디어 주체화의 의미 있는 시작이다.

 

화면해설 감수는 더 이상 기술자의 영역만이 아니다. 그것은 지금, 시각장애 학생들의 손끝에서 장면을 상상하는 언어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Visually impaired students at Daejeon School for the Blind have stepped forward as reviewers and producers of screen narration. They are expanding their roles from content recipients to critics and even creators, and changing the structure of information access rights. This experiment, which began in a school for the first time nationwide, is gaining attention as a new model for disabled people’s participation in media.

 

“If scenes are accurately explained, we can feel the same emotions as in movies or dramas.”

 

Choi Myeong-ho (20), a third-year student at Daejeon School for the Blind, recently completed screen narration content review training and began full-scale monitoring work. The ‘screen narration review club’ he is a member of is the first on-campus visual narrator training project in the nation, created as part of the Dong-gu Office Education Expenses Subsidy Support Project.

 

This club, consisting of 10 members, is operated with a structure that combines education and practice. They are not simply beneficiaries of education, but rather ‘experts who determine the quality of screen narration.’

 

Screen narration is a voice-based information delivery technology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meaning of the content is conveyed through audible explanations of visual elements such as changes in facial expressions, background changes, and movements of characters. The problem is whether this explanation accurately reflects the perception and needs of actual viewers.

 

Choi said, “There are many scenes with subtitles but no explanation. Sometimes, important scenes are just skipped over,”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creen explanations. In fact,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is mandating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screen explanations on terrestrial and cable channels, but ‘audit by the visually impaired’ is still an optional item.

 

Therefore, the start of this club is interpreted as not a simple educational activity, but as providing institutional supplementary points for content quality control.

 

This club does not stop at theoretical education but also includes practical content production training. With the support of the Daejeon Film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Scene World,’ students will produce screen explanations for short films by the end of the year and release them at a school screening.

 

The club cultivates a sense as a reviewer and producer through a three-dimensional curriculum such as 'barrier-free movie monitoring, barrier-free kiosk experience, tactile exhibition viewing, and special lectures by screen commentators and reviewers'. This becomes a stepping stone to simultaneously secure media criticism capabilities and career advancement possibilities.

 

Meanwhile,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Daejeon City Viewer Media Center, the Daejeon Blind School Library holds monthly barrier-free movie screenings and media criticism education. Simultaneous viewing equipm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has also been introduced to support real-time commentary.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 more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 'Screen Commentary Reviewer Training Course', will be organized into 10 session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ilot project for establishing a regional-based professional human resource training infrastructure.

 

Choi says that he is growing from a 'listener of commentary' to an 'evaluator of commentary' and then to a 'creator'. "I didn't know that thinking about how to explain a scene in words could be this fun. It's a great sense of responsibility to become someone who speaks for the unseen."

 

Principal Moon Seong-jun said, “Except for Seoul and Busan, there are still many regions where the conditions for producing screen narration content are poor,” and added, “I hope that the Daejeon School for the Blind’s attempt will expand nationwide so that everyone can access information equally and participate in society.”

 

The right to access information is not complete by simply ‘showing’ content. It is a matter of how the person in question can interpret and consume information. In that sense, this club at the Daejeon School for the Blind is the first attempt to fill the blind spot of policy with practice, and is a meaningful start to the media subjectification of the disabled.

 

Screen narration review is no longer the domain of technicians. It is now being reborn as a language that imagines scenes at the fingertip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정지완 기자
 
대전맹학교, 대전맹학교 시각장애인 화면해설 감수, 대전 동구청, 시각장애인, 대전 시각장애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