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확산' vs 김문수 '집중'...대전 표심의 향방은?

충청권 승부수, 대전에서 맞붙은 여야 대선 후보들…선거 막판 ‘접점 전략’ 뚜렷한 차이

정지완 기자 | 기사입력 2025/05/21 [10:59]

이재명 '확산' vs 김문수 '집중'...대전 표심의 향방은?

충청권 승부수, 대전에서 맞붙은 여야 대선 후보들…선거 막판 ‘접점 전략’ 뚜렷한 차이

정지완 기자 | 입력 : 2025/05/21 [10:59]

▲ 제21대 대통령선거 각 후보들의 정당별 선대위가 선거를 13일 앞두고, 충청권 대선 승리를 위해 오늘(21일) 대전광역시 일대에서 유세 일정에 돌입했다.  © 정지완 기자

 

5월 21일, 제21대 대통령선거를 불과 13일 앞두고 여야 대선 후보 선대위가 충청권의 중심 대전에서 정면승부를 펼친다. 그러나 각 정당의 유세 일정은 유사한 시간대에 진행됨에도 그 구성과 전략, 동선 기획 측면에서 뚜렷한 차별성을 드러냈다.  

 

이재명 대선후보 캠프는 대전을 8개 권역(구별 구획)으로 나눠 동시에 유세를 전개하는 이른바 ‘동시다발 전면전 전략’을 가동했다.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7시 30분까지 12시간 가까운 풀타임 유세 일정 속에, 동구·중구·서구·유성구·대덕구 등 전 자치구에서 총 16개소를 커버하는 전방위적 동선을 구사한다.

 

특히, 민주당 대전 선대위는 대전역네거리, 전민네거리, 서대전사거리, 가수원네거리, 계룡대교네거리 등 교통 요충지 및 생활밀착형 거점을 중심으로 배치하여 지역 밀착형 유권자 접촉에 주력한다. 

 

이 같은 유세 방식은 “선거 조직의 동시 투입을 통한 최대 효율 전략”으로 분석되며, 정당 기반과 지방조직의 응집력을 동원해 광역 단위 민심을 다층적으로 공략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반면 김문수 후보 측은 유세 포인트를 선별적으로 집중시키는 ‘거점형 유세 전략’을 택했다. 도마네거리(07:30), 시청역네거리(11:30), 용전네거리(17:30)라는 세 차례의 핵심 유세 시간대와 장소를 중심으로 밀착 소통형 유세에 초점을 맞춘 형식이다 .

 

이후에는 퇴근 시간대에 용전사거리, 태평오거리, 건양대사거리 등 7곳에서 퇴근 인사 형태의 유세를 통해 군중 유세보다 개별 접촉을 중시하는 보수 전통의 '저강도 고효율' 전략을 유지한 점이 눈에 띈다. 

 

이는 고정 지지층 유지와 중도보수권 유권자 확보를 위한 안정적 리더십 이미지 강화 전략으로 풀이되며, 후보가 전달하는 메시지의 접촉력을 극대화하려는 직접 소통형 유세(Direct Contact Campaigning)가 강조된 구성이다.

 

이재명 캠프가 도시 전역을 무대로 한 ‘전면 확산형’ 전략을 택한 반면, 김문수 후보는 선별된 거점에 자원을 집중하는 ‘핵심 밀착형’ 전략으로 맞섰다. 전자는 유권자 접점을 다층적으로 확대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후자는 메시지의 명료성과 유권자와의 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한 지역 정치 평론가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선택과 집중, 또는 전면전과 안정성 강화로 대변되는 각 후보 캠프의 전략은 자원 배분 방식뿐 아니라 정치적 성격, 유권자를 대하는 태도와 관련해서도 분명한 차이를 드러내는 것" 이라면서 "충청권은 그 자체가 전국 판세의 축소판인 만큼, 오늘(21일) 유세는 단순한 표심 확보를 넘어 대선 전략의 치열한 전초전 성격을 띠는 것이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은 여야가 번갈아 승리를 나눠 가진 ‘스윙 지역’으로, 유세 전략의 효과가 곧바로 표심으로 연결되는 곳인 만큼 이날 펼쳐진 이재명의 ‘광역 확산형’ 전략과 김문수의 ‘거점 집중형’ 전략이 지역 유권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궁금한 대목이다.

 

결국 민심은 유세의 형식보다, 메시지의 진정성과 후보의 태도에서 판가름난다. 13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 각 진영의 전략은 이미 실행에 들어갔고, 이제 남은 것은 현명한 유권자의 판단뿐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On May 21, just 13 days before the 21st presidential election, the campaign committees of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will have a head-on showdown in Daejeon, the center of the Chungcheong region.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campaign schedules of each party were conducted at similar times, they showed clear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composition, strategy, and route planning.

 

Lee Jae-myung, ‘wide-area spread campaign’… “maximizing organizational mobilization, all-out war”

 

Presidential candidate Lee Jae-myung’s camp has divided Daejeon into eight regions (districts) and launched a so-called ‘simultaneous all-out war strategy’ to campaign simultaneously. In a full-time campaign schedule of nearly 12 hours from 7:30 AM to 7:30 PM, they will use an all-out route that covers a total of 16 locations in all autonomous districts, including Dong-gu, Jung-gu, Seo-gu, Yuseong-gu, and Daedeok-gu.

 

In particular, the Democratic Party’s Daejeon campaign committee focuses on contacting voters in close proximity to the region by arranging campaigns at key transportation hubs and living-oriented bases such as Daejeon Station Intersection, Jeonmin Intersection, Seodaejeon Intersection, Gasuwon Intersection, and Gyeryongdaegyo Intersection.

 

This campaign method is analyzed as a “maximum efficiency strategy through simultaneous deployment of election organizations,” and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multi-layeredly conquer the public sentiment of the metropolitan area by mobilizing the cohesion of the party base and local organizations.

 

Kim Moon-soo, ‘focused campaigning at key points’… “Strengthening intimacy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candidate Kim Moon-soo chose a ‘focused campaigning strategy’ that selectively focuses on campaign points. It is a format that focuses on close communication campaigns centered on three key campaign times and locations: Doma Intersection (07:30), City Hall Station Intersection (11:30), and Yongjeon Intersection (17:30).

 

Afterwards, it is noticeable that he maintained the conservative tradition of 'low intensity, high efficiency' strategy that emphasizes individual contact rather than crowd campaigning through campaigning in the form of after-work greetings at 7 locations including Yongjeon Intersection, Taepyeong Intersection, and Ganyang University Intersection during off-work hours.

 

This is interpreted as a strategy to strengthen a stable leadership image to maintain a fixed support base and secure moderate conservative voters, and it is a composition that emphasizes direct contact campaigning to maximize the contact power of the message delivered by the candidate.

 

'Spread' vs. 'Concentration'... Different strategic colors

 

While Lee Jae-myung's camp adopted a 'full-scale spread' strategy that uses the entire city as a stage, candidate Kim Moon-soo countered with a 'core close-knit' strategy that focuses resources on selected strongholds. The former has the advantage of expanding voter contact points in multiple layers, while the latter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larity of the message and density with voters.

 

In an interview with our newspaper, a local political commentator said, "The strategies of each candidate's camp, represented by selection and concentration or all-out war and strengthening stability, clearly show differences not only in the way they allocate resources, but also in their political character and attitude toward voters," and added, "Since the Chungcheong region is a microcosm of the national landscape in itself, today's (the 21st) campaign can be seen as a fierce preliminary battle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strategy beyond simply securing votes."

 

Daejeon, a campaign testing ground and a barometer of the national landscape

 

Daejeon is a 'swing region' where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have taken turns winning, and since the effects of campaign strategies are directly linked to votes, it is also interesting to see how Lee Jae-myung's 'wide-area expansion' strategy and Kim Moon-soo's 'base concentration' strategy, which were deployed that day, will be received by local voters.

 

In the end, public sentiment is determined by the sincerity of the message and the candidate's attitude, rather than the form of the campaign. The presidential election is 13 days away. Each camp's strategy has already been put into action, and now it is up to the voters to make their own judgment.

정지완 기자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