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전은 일극체제 해소 교두보”…지역 맞춤 공약 제시

자치구별 총 29개 지역공약 발표...교통·의료·첨단산업·문화 복지 총망라

정지완 기자 | 기사입력 2025/05/20 [09:28]

이재명, “대전은 일극체제 해소 교두보”…지역 맞춤 공약 제시

자치구별 총 29개 지역공약 발표...교통·의료·첨단산업·문화 복지 총망라

정지완 기자 | 입력 : 2025/05/20 [09:28]

▲ 이재명 후보의 대전광역시 '유성구, 서구' 공약 카드뉴스=민주당 대전시당 제공  © 정지완 기자


제21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한 지역 맞춤형 공약을 발표하며, "대전은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바로미터"라며 "혁신과 포용이 공존하는 미래도시로 도약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대전의 5개 자치구별로 총 29개의 공약을 내놓고, 교통·의료·산업·복지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지역발전 구상을 제시했다.

 

각 구의 지역적 특성과 주민 수요를 반영한 생활밀착형 정책이 중심을 이룬다는 점에서, 단순한 시설 유치나 개발 계획을 넘어 실질적인 변화와 체감 가능한 개선을 강조하는 접근이 눈에 띈다.

 

도심 쇠퇴와 고령화 문제가 맞물린 중구에는 ‘도시재생과 고령친화’라는 이중 과제가 있다.

 

이재명 후보는 ▲유등천 우안도로 조기 착공 ▲뿌리공원 2단계 사업 지원 및 은퇴자 마을 조성 ▲복합보건복지시설 설치 ▲충청권 광역철도 조기완공과 서대전역 복합환승센터 구축 ▲충남대병원 암센터 건립 등을 통해 이 과제를 풀겠다고 밝혔다.

 

특히, ‘은퇴자 마을’은 고령층이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고 지역사회와 연결된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주거·의료·문화가 통합된 커뮤니티로 기획된다. 복합보건복지시설은 노인·장애인·취약계층의 돌봄 기능을 통합해 복지 접근성을 높이는 핵심 시설이 될 전망이다.

 

서구는 대전에서도 주거 인프라가 밀집된 지역으로, 산업시설보다는 생활 기반 확충에 대한 수요가 크다.

 

이에 이 후보는 ▲남선공원에 스포츠·문화 테마파크 조성 ▲도시철도 2호선 조기 완공 및 지선 확장 ▲종합스포츠타운 조성 ▲3.3만평 예비군 훈련장 부지를 AI·바이오·공공기관 집적지로 개발하는 계획을 내놨다.

 

3대 하천(갑천·유등천·정림천) 주변을 연계한 녹색공원화도 병행된다. 그는 “주민들이 일상 속에서 운동과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복합공간을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종합스포츠타운은 생활체육 중심지 역할과 동시에 지역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단지 밀집과 기반시설 노후화가 겹친 대덕구는 ‘도심 기능 재정비’가 핵심 과제로 꼽힌다. 이 후보는 ▲대전조차장~신탄진 간 철도 지하화 ▲콜버스(DRT) 교통 시스템 도입 ▲공공병원 설립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지역관리회사 설립 ▲비래동 공영주차장 확보 등을 공약했다.

 

철도 지하화는 물리적 단절을 해소하고 새로운 도시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소음·분진 등 환경 문제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공공병원은 감염병 대응을 비롯해 지역 내 의료격차 해소에 중점을 둔 정책이다.

 

DRT는 정기 노선이 없는 지역의 주민들도 이동권을 확보할 수 있는 교통 대안으로, 농촌·산간지 교통 복지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이재명 후보의 대전광역시 '중구, 대덕구, 동구' 공약 카드뉴스=민주당 대전시당 제공  © 정지완 기자

 

대전의 과학·기술 인프라가 집약된 유성구에는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이 집중적으로 배치됐다.

 

이 후보는 ▲AI·우주산업 복합클러스터 조성 ▲첨단국방산단 조기 조성 ▲바이오 혁신신약 클러스터 육성 ▲수통골 생태자원 활용 개발 ▲노은지구~지족터널 개설 ▲서대전IC 만남의 광장 조성 등을 포함한 8개 과제를 제시했다.

 

우주·AI·국방 등은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정부 주도의 투자와 민간기업의 협력을 유도해 유성구를 ‘테크노폴리스’로 육성하겠다는 그림이다. 수통골은 생태 보전과 관광 자원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공간으로, 무분별한 개발보다는 지속가능한 활용이 중시된다.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주목받는 동구는, 낙후된 원도심의 기능 회복과 교통 접근성 강화를 목표로 삼는다.

 

이 후보는 ▲대전역 일대 도심융합특구 마스터플랜 수립 ▲CTX-A(충청권 광역철도) 구축 ▲철도소음 저감 대책 확대 ▲공공기관 2차 이전 추진 ▲AI·로봇 기반 디지털 산업 플랫폼 조성을 약속했다.

 

도심융합특구는 대전역을 중심으로 업무·상업·주거 기능이 어우러진 복합거점 개발을 통해, 동구의 지리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이다. 공공기관 이전은 지역 분산 정책의 일환으로, 자족기능 강화와 지역 인구 유입 효과가 기대된다.

 

이재명 후보는 최근 대전 중구 으능정이 거리에서 열린 집중유세 현장에서 “이제는 수도권 일극 체제를 분산하고, 지방이 중심이 되는 ‘다핵형 국가 구조’로 대전환해야 할 시점”이라며 “대전은 그 출발선이자 충청권 메가시티 전략의 핵심 연결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국가균형발전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이며, 대전은 행정수도 세종과 과학도시 유성을 잇는 ‘정책·기술 복합 축’의 중심지로서, 중부권 광역경제권의 허브가 될 역량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의 대전 공약은 단순한 지역 기반 인프라 확충에 그치지 않고, ‘국가균형발전 대전환’이라는 거시적 정책 아젠다와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다. 그는 철도·의료·산업·복지에 걸친 29개 생활밀착형 공약을 발표하며, 대전을 거점으로 한 ‘충청권 메가시티 구상’의 실질적 구현 전략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대전역 도심융합특구 개발을 통한 도심 기능 회복, 대덕구의 공공의료 확충, 유성구의 첨단산업 클러스터 육성 등 각 자치구별 특성과 연계된 기능별 분산계획이 포함돼 있다.

 

특히, 이 후보는 “충청권 메가시티는 단순한 지역 묶음이 아니라, 세종의 행정 기능과 대전의 과학기술·산업 인프라, 충남의 제조기반, 충북의 바이오·의료 역량을 네트워크형으로 연결해 하나의 통합 경제권으로 기능하게 하겠다는 전략”이라며, “이는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고, 지역이 자족하고 상생할 수 있는 국가구조로 전환하는 출발점”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재명 후보의 충청권 공약에 대해 “지자체별 단일 개발 논리를 넘어선 초광역 협력 모델을 상정한 것”이라며, “광역교통망, 첨단산업 연계, 공공기관 재배치 등 복합적 요소가 결합된 메가시티 전략으로, 대전이 그 교차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분석한다.

 

결국 이번 대전 공약은 단순한 지역 유세 차원을 넘어, 수도권 중심의 불균형 구조를 다핵 분산형 체제로 재구성하겠다는 이재명 캠프의 정책 철학이 구체적으로 발현된 결과물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후보가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을 위한 지역 연계 생태계 재편 과정에서 대전광역시의 역할을 잇따라 강조함에 따라 대선 표심이 과연 어디로 향하게 될지 귀추 주목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21st presidential election candidate, Lee Jae-myung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announced a regional customized pledge targeting Daejeon Metropolitan City, saying, “Daejeon is a barometer of balanced develop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I will make it leap forward as a future city where innovation and inclusiveness coexist.”

 

The candidate presented a total of 29 pledges for each of Daejeon’s five autonomous districts, and presented a comprehensive regional development plan covering transportation, medical care, industry, and welfare.

 

The approach is notable in that it emphasizes practical changes and tangible improvements beyond simple facility attraction or development plans, as it focuses on policies closely related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residents of each district.

 

Jung-gu, where urban decline and aging issues are intertwined, has the dual tasks of ‘urban regeneration and senior-friendly.’ Candidate Lee Jae-myung announced that he would solve this problem by ▲early starting construction of the Yudeungcheon Uan Road ▲supporting the second phase of the Root Park project and creating a retirement village ▲establishing a complex health and welfare facility ▲early completing the Chungcheong metropolitan railway and establishing a complex transfer center at Seodaejeon Station ▲establishing a cancer center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particular, the ‘retirement village’ is planned as a community that integrates housing, medical care, and culture so that the elderly can continue to live connected to the local community without being socially isolated. The complex health and welfare facility is expected to be a key facility that increases welfare accessibility by integrating care functions for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the vulnerable.

 

Seo-gu is an area in Daejeon where residential infrastructure is dense, and there is a greater demand for expanding the living infrastructure than for industrial facilities. Accordingly, candidate Lee proposed a plan to ▲create a sports and culture theme park in Namseon Park ▲early complete the subway line 2 and expand branch lines ▲create a comprehensive sports town ▲develop the 33,000-pyeong reserve force training site into an AI, bio, and public institution cluster.

 

The green park project that connects the three major rivers (Gapcheon, Yudeungcheon, and Jeongnimcheon) will also be implemented. He explained, “We will create a complex space where nature and culture coexist so that residents can enjoy exercise and leisure in their daily lives.” The comprehensive sports town is expected to serve as a center for daily sports and contribute to creating jobs for local youth.

 

Daedeok-gu, where industrial complexes are densely populated and infrastructure is aging, is considering ‘reorganizing downtown functions’ as a key task. This candidate pledged to ▲ put the Daejeon Railroad Yard~Sintanjin underground ▲ introduce the DRT transportation system ▲ establish a public hospital ▲ establish a local management company to support small business owners ▲ secure a public parking lot in Birae-dong.

 

Putting the railroad underground eliminates physical isolation and secures new urban space, while reducing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noise and dust. Public hospitals are a policy that focuses o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and eliminating medical gaps within the region. DR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ransportation welfare in rural and mountainous areas as a transportation alternative that can secure the right of transportation for residents in areas without regular routes.

 

In Yuseong-gu, where Daejeon's science and technology infrastructure is concentrated, the creation of a high-tech industry cluster has been concentrated. This candidate presented eight tasks, including ▲creation of an AI and space industry complex cluster ▲early creation of an advanced defense industry complex ▲fostering a bio innovation new drug cluster ▲development of Sutonggol ecological resources ▲opening of the Noeun District~Jijok Tunnel ▲creation of a meeting plaza at Seodaejeon IC.

 

Space, AI, and defense are next-generation strategic industries, and the plan is to foster Yuseong-gu as a 'technopolis' by inducing government-led investment and cooperation with private companies. Sutonggol is a space where ecological conservation and tourism resources can be secured at the same time, and sustainable use is emphasized rather than indiscriminate development.

 

Dong-gu, which is receiving attention for the creation of an urban convergence special zone, aims to restore the functions of the underdeveloped downtown area and strengthen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This candidate promised ▲establishing a master plan for the urban fusion special zone around Daejeon Station ▲building CTX-A (Chungcheong metropolitan railway) ▲expanding measures to reduce railway noise ▲promoting the second 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creating a digital industry platform based on AI and robots.

 

The urban fusion special zone is a strategy to maximize the geographical advantages of Dong-gu by developing a complex hub that combines business, commercial, and residential functions centered around Daejeon Station. The 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is part of the regional decentralization policy, and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strengthening self-sufficiency and attracting local population.

 

Candidate Lee Jae-myung recently raised his voice at a concentrated campaign site held on Eun-eung-jeong Street in Jung-gu, Daejeon, saying, “It is time to decentralize the unipolar system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make a major shift to a ‘multi-nuclear national structure’ centered on local areas,” and “Daejeon is the starting point and a key axis of the Chungcheong megacity strategy.” He emphasize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s not a matter of choice but of survival, and Daejeon, as the center of the ‘policy and technology complex axis’ connecting the administrative capital Sejong and the science city Yuseong, has the capacity to become the hub of the central region’s metropolitan economic zone.”

 

The candidate’s Daejeon pledges are not limited to simply expanding regional infrastructure, but are organically intertwined with the macro policy agenda of ‘a great transformation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He announced 29 life-oriented pledges covering railways, healthcare, industry, and welfare, and presented a practical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Chungcheong region megacity plan’ centered on Daejeon. This includes functional distribution plans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utonomous district, such as restoring downtown functi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Daejeon Station Urban Convergence Special Zone, expanding public healthcare in Daedeok-gu, and fostering a high-tech industry cluster in Yuseong-gu.

 

In particular, this candidate explained, “The Chungcheong Megacity is not a simple regional grouping, but a strategy to connect Sejong’s administrative functions, Daejeon’s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dustrial infrastructure, Chungnam’s manufacturing base, and Chungbuk’s bio and medical capabilities in a network-like manner to function as a single integrated economic zone,” and “This is the starting point for resolving the concentr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transforming the national structure into one where the regions can be self-sufficient and coexist.”

 

Experts analyze Lee Jae-myung’s Chungcheong pledge as “a model of ultra-wide-area cooperation that goes beyond the logic of single development by local government,” and “a megacity strategy that combines complex elements such as a metropolitan transportation network, high-tech industry linkage, and public institution relocation,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Daejeon can be the intersection of these.”

 

In the end, this Daejeon pledge can be seen as a concrete expression of Lee Jae-myung’s camp’s policy philosophy of restructuring the imbalanced structure centered on the metropolitan area into a multi-nuclear decentralized system, beyond a simple regional campaign.

 

As this candidate continues to emphasize the role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regional ecosystem for the creation of a megacity in the Chungcheong region, attention is focused on where the presidential election votes will go.

정지완 기자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