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원대, 대덕과학문화센터 매각 과정서 수십억 대납 정황…배임 논란 확산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5/05/09 [22:18]

목원대, 대덕과학문화센터 매각 과정서 수십억 대납 정황…배임 논란 확산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5/05/09 [22:18]

▲ 철거되기 전 대덕과학문화센터 전경     ©김정환 기자

 

목원대학교가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소재 옛 대덕과학문화센터 매각 과정에서 특정 민간 개발업체가 부담해야 할 수십억 원의 비용을 대신 지불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교비 유용 및 배임 의혹이 커지고 있다.

 

09일 지역 법조계와 대학 관계자들에 따르면, 목원대는 최근 J업체를 상대로 26억 원 규모의 부당이득 반환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나 이 소송이 오히려 학교 측의 부적절한 자금 지출을 감추기 위한 사후 대응이라는 의혹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문제의 중심에는 J업체와 특수관계에 있는 H업체가 있다. 

 

H업체는 지난 2015년 목원대 소유의 대덕과학문화센터 부지를 470억 원에 낙찰받았지만, 잔금 미납으로 계약이 해지됐다. 이후에도 해당 부지에 오피스텔 건립을 추진했으나, 행정 소송에서 최종 패소하며 사업은 무산됐다.

 

계약 무산 이후 H업체는 계약금 반환을 요구해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이 업체의 손을 들어줬다. 이어 J업체는 해당 부지에 대해 강제경매를 신청했고, 대학 측은 매각 추진에 장애가 될 것을 우려해 경매 취소를 유도하기 위해 약 63억 원을 법원에 공탁했다.

 

문제는 그다음이다. 해당 공탁금 외에도 대학은 H업체와 관련된 철거, 설계, 분양대행 업체들에 약 42억 원을 추가로 지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업체는 목원대에 ‘제3자 채무 변제’를 요구하며 연이어 법적 조치를 취했고, 대학은 이 과정에서 사실상 민간업체의 채무를 떠안게 됐다.

 

이와 같은 지출은 목원대가 교비 수십억 원을 특정 업체를 위해 사용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배임 논란이 불가피해 보인다. 실제로 학교 측은 공탁금 마련을 위해 학교법인 감리교학원의 승인 하에 60억 원 규모의 금융권 대출까지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동문 사회에서는 책임론이 거세지고 있다. 한 동문은 “학교 재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특정 업체의 설계비와 철거비까지 교비로 떠안는 것은 배임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며 “이사회 역시 이를 알고도 묵인했다면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문제가 불거지자 뒤늦게 소송에 나선 것은 법적 책임을 피하기 위한 수순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목원대 관계자는 “현재 변호사에게 위임된 상태로, 관련 소송은 진행 중”이라며 “업무 담당이 계속 변경돼 구체적 경과는 파악이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한편, 이번 사안이 학교법인 차원의 감사나 교육부 조사를 받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Mokwon University, Daedeok Science and Culture Center sale process, tens of billions of won in advance payment… Controversy over breach of trust spreads

 

Suspicions of misappropriation and breach of trust are growing as it has been revealed that Mokwon University paid tens of billions of won in expenses that should have been borne by a specific private developer during the sale process of the old Daedeok Science and Culture Center in Doryong-dong, Yuseong-gu, Daejeon.

 

According to local legal circles and university officials on the 9th, Mokwon University recently filed a lawsuit against Company J for the return of 2.6 billion won in unjust profits. However, suspicions are also being raised that this lawsuit is actually a post-facto response to cover up the school’s inappropriate spending of funds.

 

At the center of the problem is Company H, which has a special relationship with Company J.

 

In 2015, Company H won the bid for the Daedeok Science and Culture Center site owned by Mokwon University for 47 billion won, but the contract was terminated due to non-payment of the balance. Afterwards, it attempted to build an officetel on the site, but the project was ultimately canceled after losing an administrative lawsuit.

 

After the contract fell through, Company H filed a lawsuit demanding the return of the deposit, and the court ruled in favor of the company. Company J then applied for a forced auction of the site, and the university, concerned that it would hinder the sale, deposited approximately 6.3 billion won in court to induce the cancellation of the auction.

 

The problem is what happens next. In addition to the deposit, the university was found to have spent an additional 4.2 billion won on demolition, design, and sales agencies related to Company H. These companies took legal action one after another, demanding that Mokwon University “pay its debts to a third party,” and in the process, the university ended up taking on the debts of the private companies.

 

Such expenditures can be interpreted as Mokwon University using tens of billions of won in school funds for a specific company, so the controversy over embezzlement seems inevitable. In fact, it is known that the school received a 6 billion won loan from a financial institution with the approval of the school corporation, Gamli Gakwon Academy, to secure the deposit.

 

The alumni community is increasingly demanding accountability. One alumnus claimed, “In a situation where the school’s finances are difficult, shouldering the design and demolition costs of a specific company with school funds could be considered an act of dereliction of duty,” and “If the board of directors knew about this and turned a blind eye to it, they cannot be free from responsibility.” Another official pointed out, “It seems that the belated lawsuit, which was filed after the issue was raised, was a procedure to avoid legal responsibility.”

 

A Mokwon University official was cautious about this, saying, “It is currently being delegated to a lawyer, and the related lawsuit is in progress,”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pecific progress because the person in charge of the work keeps changing.”

 

Meanwhi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incident will be subject to an audit at the school corporation level or an investig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repercussions are expected to grow.

김정환 기자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