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전통과 현재를 잇다"...향교의 재탄생

청양향교·정산향교에서 펼쳐지는 14회 체험 프로그램…전통교육과 문화가 어우러진 복합공간으로 변모

정지완 기자 | 기사입력 2025/04/25 [11:21]

청양군, "전통과 현재를 잇다"...향교의 재탄생

청양향교·정산향교에서 펼쳐지는 14회 체험 프로그램…전통교육과 문화가 어우러진 복합공간으로 변모

정지완 기자 | 입력 : 2025/04/25 [11:21]

▲ "청양에서 담아보는 우리의 숨결" 테마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청소년들의 모습  © 청양군 제공

 

충남 청양군(군수 김돈곤)이 조선시대 교육기관인 향교를 현대적 문화 콘텐츠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향교·서원 국가유산활용사업'을 25일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국가유산청이 주관한 공모에 선정되어 마련된 것으로, 군의 대표적인 전통 유산인 청양향교와 정산향교를 중심으로 한 체험형 프로그램들이 오는 11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며, 지역 문화단체인 ‘온닮’이 주관을 맡아 진행한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단순한 문화재 관람을 넘어서, 향교 본래의 교육 기능과 전통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주민과 방문객 모두가 체험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데 있다.

 

총 세 가지 테마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청양의 효로 내일을 여는 향교’ ▲‘청양에서 담아보는 우리의 숨결’ ▲‘정아루 옆 은행나무 이야기’ 등으로 꾸려진다.

 

‘청양의 효로 내일을 여는 향교’는 향교가 지닌 교육적 철학 중에서도 동양 윤리사상의 핵심인 ‘효(孝)’를 중심 주제로 삼는다. 참가자들은 전통 복식을 갖추고 선비 예법을 체험한 뒤, 마당극과 국악·현대음악이 어우러진 공연을 관람하며 유교 윤리를 실감 있게 경험하게 된다.

 

또 다른 테마인 ‘청양에서 담아보는 우리의 숨결’은 공자의 삶과 가르침을 소재로 구성된 체험형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이다. 참여자들은 선비가 되어 조선시대로 시간여행을 떠난 듯한 설정 속에서 명상, 다도, 민화 그리기, 서도(書道) 등의 활동을 통해 조선 선비의 일상을 온몸으로 느껴볼 수 있다.

 

세 번째 프로그램인 ‘정아루 옆 은행나무 이야기’는 정산향교 입구에 위치한 전통 누각 ‘정아루’와 수백 년간 자리를 지켜온 보호수 은행나무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참가자들은 자연과 함께 살아간 선현들의 철학을 돌아보고, 폐목을 활용한 공예체험을 통해 생태와 전통의 조화를 체득하게 된다.

 

김돈곤 청양군수는 “이번 사업은 향교가 군민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좋은 계기”라며, “선비 교육의 본래 취지를 살리고, 군민들이 역사와 문화를 체험하며 쉬어갈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향교 활용 프로그램은 가족 단위 방문객부터 청소년, 일반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대가 참여 가능하며, 참여를 원하는 이는 ‘온닮’ 공식 누리 또는 전화(☎ 041-853-5185)로 사전 예약할 수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hungnam Cheongyang-gun (Governor Kim Don-gon) announced on the 25th that it will begin the 'Hyanggyo and Seowon Nation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 to transform Hyanggyo, an educational institution from the Joseon Dynasty, into a modern cultural content space.

 

This project was selected through a public contest hosted by the Nation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experiential programs centered around Cheongyang Hyanggyo and Jeongsan Hyanggyo, the county's representative traditional heritages, will be held for a total of 14 times until November, and 'Ondam', a local cultural organization, will be in charge of the project.

 

The core of this project is to go beyond simple viewing of cultural assets and to reinterpret the original educational function and traditional culture of Hyanggyo in a modern way, creating a space where both residents and visitors can experience and empathize.

 

The program consists of three themes: ▲'Hyanggyo, Opening Tomorrow through Hyo-ro in Cheongyang' ▲'Our Breath in Cheongyang' ▲'The Story of the Ginkgo Tree Next to Jeong-A-ru'.

 

‘Hyanggyo Opens Tomorrow with Hyo in Cheongyang’ focuses on ‘Hyo (孝)’, the core of Eastern ethics, among the educational philosophies of Hyanggyo. Participants will wear traditional clothing and experience the etiquette of scholars, and then watch a performance that combines madanggeuk,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modern music to experience Confucian ethics in a realistic way.

 

Another theme, ‘Our Breath in Cheongyang’, is an experiential storytelling program based on the life and teachings of Confucius. Participants will feel like they have become scholars and traveled back in time to the Joseon Dynasty, and can experience the daily lives of Joseon scholars with their whole bodies through activities such as meditation, tea ceremony, drawing folk paintings, and calligraphy.

 

The third program, ‘The Story of the Ginkgo Tree Next to Jeong-A-Ru’, is centered around the traditional pavilion ‘Jeong-A-Ru’ located at the entrance of Jeongsan Hyanggyo and the ginkgo tree that has been protected for hundreds of years. Participants will look back on the philosophy of the ancestors who lived with nature, and learn the harmony of ecology and tradition through craft experiences using waste wood.

 

Cheongyang County Governor Kim Don-gon said, “This project is a good opportunity for Hyanggyo to approach the people in a friendly way,” and “We will make it a space where the people can experience history and culture and rest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purpose of Confucian education.”

 

Meanwhile, this Hyanggyo utilization program is open to various generations, from families to teenagers and adults, and those who wish to participate can make a reservation in advance on the official ‘Ondam’ website or by phone (☎ 041-853-5185).

정지완 기자
 
충남 청양군, 청양군, 청양향교, 정산향교, 향토 문화단체 온닮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