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군청의 정보공개 청구, “부존재” 답변에 대한 논란

숫자 한개 틀렸다고 정보부존재 처리

김화중 기자 | 기사입력 2025/01/23 [12:17]

태안군청의 정보공개 청구, “부존재” 답변에 대한 논란

숫자 한개 틀렸다고 정보부존재 처리

김화중 기자 | 입력 : 2025/01/23 [12:17]

▲ 태안군청 전경 = 태안군청     ©김화중 기자

 

최근 정보공개 자료 요청 과정에서 태안군청의 “부존재” 답변이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청구자는 “1995년 이원 간척지 양도양수 협약서”에 대한 자료를 요청하면서, 태안군청 담당공무원과 사전 통화를 통해 자료가 없을 것이라는 예상을 하기도 했다. 

 

담당자는 청구를 하면 답변을 하겠다고 했지만, 결국 30일 후 돌아온 답변은 “정보의 부존재”라는 충격적인 내용이었다.

 

청구자는 태안군청에서 관련 자료를 직접 요청하면 답변을 받을 것이라는 안내를 받았으나, 태안군청은 “1995년도 자료는 없고, 1993년도 자료가 있기 때문에 부존재 처리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청구자가 요청한 내용에는 ‘연도 표시가 없는 모든 자료’가 포함되어 있었기에, 1993년도 자료가 존재한다면 그 또한 공개해야 한다는 법적 의무가 따른다.

 

이와 같은 태안군청의 답변은 결국 숫자 하나에 의한 부당한 정보의 "부존재" 처리가 아닐 수 없다. 

 

서부발전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태안군이 보관하고 있는 이원 간척지 양도양수 협약서와 관련된 모든 자료는 요청할 수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태안군청은 이를 간과하고 소극적인 행정을 펼친 것으로 보인다.

 

청구자는 태안군청의 무책임한 대응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하며, 공무원들이 자신의 귀찮음을 피하기 위해 “부존재” 처리를 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행태는 시민의 알 권리를 저해하고, 공공기관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태안군청의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청구자는 이번 사건을 통해 정보공개제도의 필요성과 공공기관의 투명한 행정을 촉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cently, Taean County Office’s “nonexistence” response to the request for information disclosure has caused a great deal of controversy. When the claimant requested information on the “1995 Iwon Reclamation Land Transfer Agreement,” he had a prior phone call with the Taean County Office official, expecting that there would be no information.

 

The official said that he would respond if he made the request, but the shocking response he received 30 days later was “nonexistence of information.”

 

The claimant was informed that he would receive an answer if he directly requested the relevant information from Taean County Office, but Taean County Office maintained its position that “there is no information from 1995, and since there is information from 1993, it was processed as nonexistent.”

 

However, since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claimant included “all information without a year,” there is a legal obligation to disclose the information from 1993 if it exists.

 

This response from Taean County Office cannot be anything other than the “nonexistence” of unfair information based on a single number.

 

According to what Western Power has confirmed, all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Iwon Reclamation Land Transfer Agreement that Taean County is keeping can be requested, but Taean County Office seems to have overlooked this and carried out passive administration.

 

The plaintiff expressed strong dissatisfaction with Taean County Office’s irresponsible response, claiming that the public officials processed it as “nonexistent” to avoid bothering him.

 

This behavior will result in undermining the citizens’ right to know and lowering the credibility of public institutions.

 

 

Taean County Office’s future response is noteworthy. Through this incident, the plaintiff is calling for the necessity of a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transparent administration by public institutions, and hopes that these problems will not be repeated.

 

 

 

 

김화중 기자
 
충남태안군 관련기사목록
더보기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