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충남선관위, 설 명절 전후 위법행위 단속 강화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5/01/15 [14:30]

대전·세종·충남선관위, 설 명절 전후 위법행위 단속 강화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5/01/15 [14:30]

▲ 대전시선관위     ©김정환 기자

대전·세종·충남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는 제1회 전국동시새마을금고이사장선거(3월 5일) 및 상반기 재·보궐선거(4월 2일)를 앞두고 설 명절 전후로 위법행위 예방 및 단속 활동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명절 인사 명목으로 금품을 제공하거나 사전선거운동을 하는 등 위법행위가 발생할 우려가 커짐에 따라 특별 예방·단속을 실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선관위는 입후보예정자와 정당,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 및 새마을금고 등 관련 기관과 단체를 대상으로 방문 면담과 안내 자료 배부를 통해 적극적인 예방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그러나 사전 안내에도 불구하고 중대선거범죄가 발생할 경우에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여 고발 등 엄중히 조치할 방침이다.

 

특히, 선관위는 명절 기간 동안 금품 수수 및 선거법 위반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유권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공직선거법 및 위탁선거법을 위반하여 명절 선물을 수수하거나 식사를 제공받는 경우, 최고 3천만 원의 범위에서 제공받은 금액의 10배 이상 50배 이하에 해당하는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과거 사례로는 국회의원 보좌관 명의의 명절 선물(40,000원 상당 곶감)을 택배로 제공받은 선거구민 124명에게 총 296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된 바 있으며, 후보자가 되려는 사람의 친척으로부터 명절 선물(18,000원 상당 장아찌 세트)을 택배로 제공받은 선거구민 296명에게는 총 5229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었다.

 

대전·세종·충남선관위는 명절 연휴 동안에도 신고 및 접수를 위한 비상연락체제를 유지하며, 위법행위를 발견할 경우 1390번으로 즉시 신고·제보해 줄 것을 요청했다. 

 

위법행위 신고자에게는 포상금심사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최고 5억 원(금고이사장선거 3억 원)의 포상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선거의 공정성을 확보하고 유권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노력으로, 대전·세종·충남선관위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위법행위 예방과 단속에 힘쓸 계획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aejeon, Sejong, and Chungnam Election Commissions Strengthen Crackdown on Illegal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Lunar New Year Holidays

 

The Daejeon, Sejong, and Chungnam Election Commission (NEC) announced that it will strengthen its prevention and crackdown activities on illegal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Lunar New Year holidays ahead of the first nationwide simultaneous Saemaul Geumgo Chairman Election (March 5) and the first half by-elections (April 2).

 

This measure was prepared to carry out special prevention and crackdowns as concerns grow over illegal activities such as providing money or goods in the name of holiday greetings or conducting advance election campaigns.

 

The NEC plans to actively carry out preventive activities through on-site interviews and distribution of guidance materials to prospective candidates, political partie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heads of local governments, local council members, and Saemaul Geumgo, as well as related organizations and groups.

 

However, if a serious election crime occurs despite prior guidance, the NEC plans to apply the zero-tolerance principle and take strict measures such as filing a complaint.

 

In particular,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is urging voters to be careful to heighten awareness of receiving bribes and violations of election laws during the holiday season.

 

If you receive holiday gifts or meals in violation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or the Consignment Election Act, you may be subject to a fine of 10 to 50 times the amount provided, up to a maximum of 30 million won.

 

In a past case, a total of 29.6 million won in fines was imposed on 124 constituency residents who received holiday gifts (dried persimmons worth 40,000 won) by courier in the name of a National Assembly member's aide, and a total of 52.29 million won in fines was imposed on 296 constituency residents who received holiday gifts (pickled vegetables worth 18,000 won) by courier from a relative of a candidate.

 

The Daejeon, Sejong, and Chungnam Election Commissions will maintain an emergency contact system for reporting and receiving even during the holiday season, and requested that anyone who discovers illegal activities immediately report or tip off by calling 1390.

 

Those who report illegal activities will be rewarded up to 500 million won (300 million won for the election of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 after deliberation by the Reward Review Committee.

 

This measure is an important effort to ensure fairness in the election and protect the rights of voters, and the Daejeon, Sejong, and Chungnam Election Commissions plan to continue to work on preventing and cracking down on illegal activities in the future.

김정환 기자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