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국보로 지정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5/01/09 [09:39]

국가유산청,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국보로 지정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5/01/09 [09:39]

▲ 마곡사 5층 석탑  © 공주시


국가유산청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에 포함된 공주 마곡사에 위치한 보물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公州 麻谷寺 五層石塔)'을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했다고 9일 밝혔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국보로 지정된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은 고려 후기에 조성된 5층 석탑으로, 길이 1.8m의 금동보탑을 옥개석 위에 올려 ‘탑 위에 탑’이라는 독특한 양식을 갖추고 있다. 

 

이 금동보탑은 중국 원나라에서 유행했던 불탑 양식을 재현하고 있으며, 제작기법이 정교하고 기술적, 예술적 완성도가 뛰어난 점에서 우리나라 석탑 중 유일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당시 불교문화의 국제적인 교류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석탑의 조성 시기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고려 후기 충청과 호남 지역에서 성행한 백제계 석탑 양식을 보이는 점과, 2층 탑신의 사방불 머리 위 장식이 고려 후기 불상에서만 등장하는 동그란 모양이라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14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동쪽에 새겨진 약사불이 든 약함의 형태는 고려 1346년에 제작된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석탑의 기단은 고려시대 백제계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지대석에는 게의 눈과 같은 형상의 곡선 모양인 해목형 안상이 새겨져 있어, 이는 현존하는 석탑에서 최초로 발견된 사례로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크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국보로 지정된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이 체계적으로 보존·관리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및 소유자(관리자)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문화유산의 가치를 더욱 높이고, 후대에 전할 수 있는 적극적인 행정을 이어갈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National Heritage Administration Designates Five-story Stone Pagoda at Magoksa Temple in Gongju as National Treasure

 

The National Heritage Administration announced on the 9th that it has designated the 'Gongju Magoksa Five-story Stone Pagoda' located at Magoksa Temple in Gongju,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and one of Korea's mountain temples, as a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national treasure.

 

According to the Nation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Gongju Magoksa Five-story Stone Pagoda' 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is a five-story stone pagoda built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has a unique style of 'a pagoda on top of a pagoda' with a 1.8m-tall gilt-bronze pagoda placed on top of a roof stone.

 

This gilt-bronze pagoda reproduces the Buddhist pagoda style that was popular in China's Yuan Dynasty, and is evaluated as the only example of a stone pagoda in Korea due to its sophisticated manufacturing technique and outstanding technical and artistic perfection.

 

It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that shows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Buddhist culture at that time, and its value is very high.

 

There is no record of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stone pagoda, but it is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around the 14th century, based on the fact that it shows the Baekje-style stone pagoda style that was popular in the Chungcheong and Honam regions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 fact that the decorations on the heads of the four Buddhas on the second floor of the pagoda are round and only appear in Buddhist statues from the late Goryeo period.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medicine box containing the Bhaisajyaguru Buddha carved on the east side is noteworthy in that it is identical to the 'Janggoksa Gilt-bronze Bhaisajyaguru Seated Statue' made in 1346 of the Goryeo period.

 

In addition, the pedestal of the stone pagoda follows the Baekje-style stone pagoda style of the Goryeo period, and the foundation stone is engraved with a curved shape resembling the eyes of a crab, which is the first case discovered in an existing stone pagoda and has great academic and artistic value.

 

The National Heritage Administration announced that it will continue to cooperate with local governments and the owner (manager) so that the Gongju Magoksa Five-story Stone Pagoda, which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this time, can be systematically preserved and managed.

 

Through this, we plan to continue active administration to further increase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and pass it on to future generations.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