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수처작주(隨處作主)... 최민호, 본립도생(本立道生).. 김태흠, 응변창신(應變創新)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5/01/02 [09:04]

이장우, 수처작주(隨處作主)... 최민호, 본립도생(本立道生).. 김태흠, 응변창신(應變創新)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5/01/02 [09:04]

▲ 이장우 대전시장, 김태흠 충남지사,최민호 세종시장(좌측부터)  © 김정환 기자


2025년 푸른뱀의 해 을사년을 맞아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가 제시한 올해의 사자성어는 각 지역의 비전과 목표를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또한 단체장들이 제시한 사자성어들은 지역 사회의 발전과 화합을 위한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어 지역민들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먼저 이장우 대전시장이 제시한 올해의 사자성어는 '수처작주(隨處作主)'이다.

 

수처작주(隨處作主)는 머무는 곳마다 주인이 되라는 뜻이다. 어떤 상황이든 주체적으로 행동하며 스스로 미래를 개척하자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일류경제도시 대전을 위해 각자의 자리에서 열심히 뛰자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 개척자들의 도시로서 대전이 성장했듯이, 미래 대전을 위해 대전 시민 모두가 대전의 주인이 되자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대전시는 과학기술 중심도시로서, 민선 8기 역점적으로 추진했던 6대(ABCD+QR)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과학기술 도시 대전의 위상을 공고히 다져나갈 계획이다.   

 

특히 '일류경제도시 대전'을 슬로건으로 민선 8기 대전시정을 이끌고 있는 이장우 대전시장은 '수처작주(隨處作主)' 사자성어를 통해 시민들에게 주인정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새해에도 대전시는 과학과 기술의 중심지로서,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주인정신을 바탕으로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으로, 대전시가 역점으로 추진하고 있는 바이오산업 활성화와 항공우주산업 핵심 추진도시로의 자리메김을 통해 '과학기술도시 대전' 위상을 확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새해 사자성어로 ‘본립도생(本立道生)을 제시했다.

 

‘본립도생(本立道生)은 본질이 바로 설 때 길이 보인다는 뜻으로 최 시장은 새해 신년사를 통해 “앞으로 세종시가 나아갈 길도 시민의 삶과 행복, 미래의 번영이라는 기본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어려울수록 원칙으로 돌아가 흔들림 없이 미래를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태흠 충남지사가 제시한 올해의 사자성어는 ‘응변창신(應變創新)’으로 새해에는 변화에 한발 앞서 대응하고 주도적으로 길을 개척해 나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김태흠 지사가 제시한 사자성어 ‘응변창신(應變創新)’는 김 지사가 민선 8기 충남 도정을 이끌면서 변화에 능동적인 대처와 함께 미래를 대비하는 먹거리 창출 등 눈부신 활약을 보였었다.

 

지난해 충남도는 30조원에 육박하는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면서 경제독립에 한 발 다가서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지역 자원을 활용한 경제구조의 자립화를 구축하고,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경제정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사자성어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대전시장, 세종시장, 충남지사가 제시한 올해의 사자성어는 각 지역의 처해있는 상황과 현실에 부합한 비전과 목표를 잘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이들 단체장들이 제시한 올해의 사자성어 도전정신, 유지필성, 독립도생을 통해 지역 사회의 발전과 화합을 이루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평이다.

 

무엇보다 단체장들이 제시한 사자성어는 시도민들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뿐 아니라, 지역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four-character idioms of the year presented by Daejeon Mayor Lee Jang-woo, Sejong Mayor Choi Min-ho, and South Chungcheong Governor Kim Tae-heum, in celebration of the Year of the Blue Snake in 2025, are being evaluated as reflecting the vision and goals of each region.

 

In addition, the four-character idioms presented by the heads of organizations contain important messages for the development and harmony of local communities, raising the expectations of local residents.

 

First, the four-character idiom of the year presented by Daejeon Mayor Lee Jang-woo is 'Su-cheo-jak-ju (隨處作主)'.

 

Su-cheo-jak-ju (隨處作主) means to become the owner of wherever you are. It contains the will to act proactively and pioneer the future on your own regardless of the situation, and is interpreted as meaning that each person should work hard in their respective positions for Daejeon, a first-class economic city.

 

In addition, as Daejeon has grown as a city of pioneers, it can also be seen as meaning that all Daejeon citizens should become the owners of Daejeon for the future Daejeon.

 

Daejeon City, as a science and technology-centered city, plans to solidify its status as a science and technology city centered on the six strategic industries (ABCD+QR) that were promoted as key priorities during the 8th elected government.

 

In particular, Mayor Lee Jang-woo of Daejeon, who is leading the 8th elected government of Daejeon with the slogan of ‘Daejeon, a first-class economic city,’ i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ownership to citizens through the four-character idiom ‘수처작주(隨處作主)’.

 

In the new year as well, Daejeon City plans to promote policies based on ownership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cent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lidify its status as a ‘science and technology city Daejeon’ by activating the bio industry and establishing itself as a key city for promoting the aerospace industry, which Daejeon City is promoting as a key priority.

 

Sejong City Mayor Choi Min-ho suggested ‘본립도생(本立道生)’ as the four-character idiom for the new year.

 

‘Bonripdoseng (本立道生)’ means that when the essence is right, the path will be visible. Mayor Choi emphasized in his New Year’s address that “the path that Sejong City will take in the future must start from the basics of the citizens’ lives and happiness and future prosperity,” and that “the more difficult it is, the more we will return to our principles and prepare for the future without wavering.”

 

The four-character idiom of the year suggested by Chungnam Governor Kim Tae-heum is ‘eungbyeonchangsin (應變創新)’,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responding to changes one step ahead and proactively pioneering a path in the new year.

 

The four-character idiom suggested by Governor Kim Tae-heum, ‘eungbyeonchangsin (應變創新)’, refers to Governor Kim’s outstanding performance in leading the 8th elected Chungnam provincial government, such as actively coping with changes and creating food for the future.

 

Last year, Chungnam Province successfully attracted investment worth nearly 30 trillion won, and while taking a step closer to economic independence, it is presenting a plan to establish an economic structure that utilizes regional resources and promote economic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through four-character idioms.

 

The four-character idioms of the year presented by the mayors of Daejeon, Sejong, and Chungnam Province well represent the vision and goals that fit the current situations and realities of each region.

 

In particular, the four-character idioms presented by these heads of organizations, such as the spirit of challenge, self-reliance, and independence, are said to show their will to achieve development and harmony in the local community.

 

Above all, the four-character idioms presented by the heads of organizations are expected to not only deliver a positive message to the citizens of the province and city, but also become a driving force for regional development.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