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연구개발특구 내 건축밀도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을 담은 '대전 광역시 도시계획조례' 개정 조례를 27일 공포하고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 조례의 주요 내용은 연구개발특구 내 자연녹지의 교육·연구 및 사업화 시설구역에 대한 건폐율과 용적률이 각각 30% 이하에서 40% 이하, 150% 이하에서 200% 이하로 확대된다.
이는 최근 개정된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따라 법에서 허용하는 최대한도로 조정된 것으로, 개발 가용지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기업 및 연구기관이 고밀도 건축이나 증축을 통해 연구 및 기업 활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대전시가 추진 중인 대덕특구의 ‘도심형 과학클러스터’ 전환 정책도 더욱 진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개정 조례는 또 용도지역상 보전녹지지역에 설치할 수 있는 학교 건축물의 허용 범위가 졸업 시 동등 학력이 인정되는 학교까지 확대된다. 이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사항을 반영한 것으로, 보전녹지지역, 생산녹지지역, 보전관리지역 및 생산관리지역에서 특수학교 등 졸업 시 중학교·고등학교와 동등 학력이 인정되는 학교 건축물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번 건축밀도 규제 완화로 연구개발특구의 경쟁력 강화와 대덕특구 공간 대전환의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주거지역과 근접한 보전녹지지역 내 특수학교 설치가 가능해짐에 따라 학교 부족으로 인한 학급 과밀 및 장거리 통학 문제도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aejeon City Announces Ordinance to Relax Building Density Regulation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 Zones
Daejeon City announced on the 27th that it will announce and implement a revised ordinance o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Urban Planning Ordinance' that includes contents to relax building density regulations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 zones.
The main contents of this revised ordinance are to expand the building coverage ratio and floor area ratio for education,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facility areas in natural green areas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 zones from 30% or less to 40% or less and from 150% or less to 200% or less, respectively.
This has been adjusted to the maximum allowed by law according to the recently revised 'Enforcement Decree of the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 Zones', and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suffering from a shortage of available development land will be able to secure research and business activity space through high-density construction or expansion.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Daejeon City's policy of converting Daedeok Special Zone into an 'urban science cluster' will also make further progress.
The revised ordinance also expands the scope of school buildings that can be installed in conservation green zones according to the use zone to include schools that are recognized as having equivalent academic achievements upon graduation.
This reflects the revised Enforcement Decree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and allows the installation of school buildings that are recognized as having equivalent academic achievements to middle and high schools upon graduation in conservation green zones, production green zones, conservation management zones, and production management zones.
A Daejeon city official said, “We expect that this relaxation of building density regulations will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R&D special zone and lay the foundation for a major transformation of the Daedeok Special Zone,” and “As it is now possible to install special schools in conservation green zones close to residential areas, the problems of overcrowding in classes and long-distance commuting due to a lack of schools will also be resolved.”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대전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