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마곡사 굴피자리·무량사 묘법연화경’ 문화유산 신규 지정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4/12/02 [09:29]

충남도, ‘마곡사 굴피자리·무량사 묘법연화경’ 문화유산 신규 지정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4/12/02 [09:29]

▲ 공주_마곡사_대광보전_굴피자리  © 충남도


충청남도가 2일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굴피자리’와 ‘부여 무량사 묘법연화경’ 등 두 건을 충청남도 문화유산으로 신규 지정했다고 밝혔다.

 

‘굴피자리’는 참나무의 두꺼운 껍질인 굴피를 가는 올로 쪼개어 엮은 자리로, 주로 함경북도 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굴피자리는 대광보전을 중수한 1782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역사성과 학술 가치가 매우 높아 충청남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충남도는 앞으로 마곡사 대광보전 굴피자리에 대한 보존 처리 및 정밀 조사를 진행한 후, 유산의 가치를 입증하여 국가유산으로 승격할 계획이다.

▲ 부여_무량사_묘법연화경  © 충남도


또한, 부여 무량사 묘법연화경은 1493년에 간행된 불서로, 7권 3책이 온전히 전해지고 있어 완전성이 높다. 이는 조선 전기 불서 간행과 목판 인쇄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받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충남도는 이외에도 천안 각원사 소조보살좌상, 백자청화 이기하 지석, 류명 청난원종공신녹권을 대상으로 충청남도 문화유산 지정 예고를 하였으며, 예고 기간 내에 접수된 의견을 종합하여 차기 도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hungnam Province Designates ‘Gulpijari of Magoksa Temple and Myobeopyeonhwagyeong’ as New Cultural Heritage

 

On the 2nd, Chungcheongnam-do Province announced that it had newly designated two properties, ‘Gulpijari of Magoksa Daegwangbojeon in Gongju’ and ‘Myobeopyeonhwagyeong of Muryangsa Temple in Buyeo’ as cultural heritage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Gulpijari’ is a type of woven gulpi, the thick bark of an oak tree, split into thin strips and is known to have been mainly produced in the Hamgyeongbuk-do region. It is estimated that the gulpijari of Magoksa Daegwangbojeon in Gongju was produced around 1782 when Daegwangbojeon was renovated, and it was designated as a Chungcheongnam-do folk cultural heritage due to its high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

 

Chungcheongnam-do Province plans to conduct conservation treatment and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gulpijari of Magoksa Daegwangbojeon in the future, and then upgrade it to a national heritage by proving its heritage value.

 

In addition, the Buyeo Muryangsa Myobeopyeonhwagyeong is a Buddhist text published in 1493, and its completeness is high as all 7 volumes and 3 books have been preserved intact. It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hat allows us to glimpse the Buddhist text publication and woodblock printing cultur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has been designated as a 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Chungcheongnam-do.

 

In addition, Chungcheongnam-do has announced the designation of the Seated Clay Bodhisattva Statue of Gakwonsa Temple in Cheonan, the White Porcelain and Blue-and-White Lee Gi-ha Stone, and the Ryu Myeong Cheongnanwonjonggongsin Nok-gwon as cultural heritage of Chungcheongnam-do, and will make a final decision on whether to designate it after reviewing the opinions received during the notice period at the next provincial cultural heritage committee.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