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의회,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 촉구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개정 촉구 결의안’ 채택

김환일 기자 | 기사입력 2023/11/13 [16:44]

세종시의회,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 촉구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개정 촉구 결의안’ 채택

김환일 기자 | 입력 : 2023/11/13 [16:44]

▲ 세종시의회 제85회 임시회 개회_전경사진     ©세종시의회

세종시의회가 13일 개최한 세종시의회 제86회 정례회 1차 본회의에서 이현정 의원이 대표 발의한 ‘전세사기 근절을 위한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개정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의안에는 임차인의 재산손실과 주거불안을 초래하는 악의적인 전세사기 피해 근절을 위한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을 촉구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의원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라 최근 5년간 1000명의 임대인이 집 44000여 채를 매입했으나, 현재까지 전국 지자체에 접수된 피해 신고는 9100여 건에 불과해 추가 피해 발생이 예상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 의원은 서울, 경기에 이어 전국에서 전세가구 비율이 세 번째로 높은 세종시도 예외는 아니라며, 이미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총 99건의 전세 사기 사건이 발생해 그 피해액은 약 138억에 달하고 있다고 전하고, 특히 전세사기 피해자의 63%가 2·30대 청년으로, 당사자들이 체감하는 피해액은 더욱 가중되어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지난 6월 국회가 전세사기 특별법을 제정하였고 이를 근거로 경·공매 절차 지원과 금융지원 등을 실시하고 있지만, 피해자들이 임대인의 사기 혐의를 증빙하려면 자료준비에만 수일이 걸리고, 피해확인서 교부에서 결정문 발급까지 최대 2개월이 소요됨을 설명했다.

 

또한 ‘구제 결정’이 되더라도 제한적인 지원으로 피해자들은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으며, 세세한 자격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피해자들은 피해 신청조차 할 수 없는 상황임을 지적했다.

 

이 의원은 정부는 전세사기 특별법 제정 당시, 6개월간의 시행 결과를 토대로 법안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지만, 실태조사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세종시의회는 정부가 전세사기 피해를 명백한 사회적 재난으로 인정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야 함을 강조하며 전국 단위의 실태조사 ,“선매입 후회수”하는 방안 검토 ,사각지대 없는 피해자 구제가 가능한 자격요건 범위 확대를 강력히 촉구했다.

 

한편, 세종시의회는 ‘전세사기 근절을 위한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 촉구 결의안’을 국회의장과 국무총리, 국토교통부장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경찰청 등에 이송할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Sejong City Council urges revision of special law on lease fraud

 

Adoption of ‘Resolution calling for revision of the Special Act on Housing Stability and Support for Victims of Jeonse Fraud’

 

At the 1st plenary session of the 86th regular session of the Sejong City Council held on the 13th, the Sejong City Council announced that it had adopted a resolution calling for the revision of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Victims of Jeonse Fraud and Housing Stability’ proposed by Rep. Lee Hyeon-jung to eradicate jeonse fraud.

 

This resolution includes a call to amend the special law on lease fraud to eradicate malicious lease fraud that causes property loss and housing instability for tenants.

 

According to Rep. Lee, according to data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000 landlords have purchased about 44,000 houses over the past five years, but only about 9,100 damage reports have been received to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to date, raising concerns that additional damage is expected to occur.

 

Rep. Lee said that Sejong City, which has the third-highest rate of jeonse households in the country after Seoul and Gyeonggi, is no exception, and that a total of 99 jeonse fraud cases have already occurred from last year to the present, with the damage amounting to approximately KRW 13.8 billion. 63% of victims of lease fraud are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emphasizing the urgent need to come up with effective measures as the damage felt by those involved is further aggravated.

 

In addition, last June, the National Assembly enacted a special law on lease fraud, and based on this, support for auction and public auction procedures and financial support are provided. However, it takes several days for victims to prepare materials to prove the landlord's fraud charges, and a decision letter is required in the issuance of a damage confirmation certificate. It was explained that it may take up to two months to be issued.

 

In addition, even if a ‘relief decision’ is made, victims are complaining of frustration due to limited support, and it was pointed out that victims who do not meet detailed eligibility requirements are unable to even apply for damages.

 

Rep. Lee argued that when the government enacted the Special Act on Jeonse Fraud, it decided to push for revision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law based on the results of six months of enforcement, but even the fact-finding survey was not properly conducted.

 

Accordingly, the Sejong City Council emphasized that the government must recognize the damage from jeonse fraud as a clear social disaster and prepare effective support measures, conducting a nationwide fact-finding survey, reviewing measures to “count regrets from pre-purchase,” and establishing qualifications that can provide relief to victims without blind spots. It was strongly urged to expand the scope of requirements.

 

Meanwhile, the Sejong City Council plans to transfer the ‘Resolution calling for the revision of the Special Act on Jeonse Fraud to eradicate Jeonse Fraud’ to the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Prime Minister,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Agency,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