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국 의원, 관세청 ‘항만감시 드론’ 14대 중 2대만 운영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3/09/20 [09:55]

홍성국 의원, 관세청 ‘항만감시 드론’ 14대 중 2대만 운영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3/09/20 [09:55]

▲ 홍성국 의원     ©김정환 기자

 

관세청의 드론를 활용한 항만 감시업무가 장비 고장 등의 이유로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을뿐 아니라, 작년 국정감사 이후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의원(세종특별자치시갑)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부산세관은 드론을 활용한 항만 감시업무가 2022년 5월부터 현재까지 중지됐고, 인천세관은 4대 중 2대만 운영하고 있다.

 

잦은 고장과 리콜로 인해 본연의 감시활동이 매우 저조한 것에 대해서는 작년 국정감사 지적사항이었고, 관세청은 개선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그러나 1년이 지났지만 상황은 더 악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세관은 구입한 드론 10대 전부를 운행하지 않고 있다. 1대는 불용처리, 9대는 작년 7월 하자신고 후 수리·점검 및 제품 대체 등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세관은 4대의 드론 중 2대는 불용처리하고 남은 2대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올 7월부터 2개월간은 고장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관세청은 2017년부터 2년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2019년 부산세관에 10대(5.9억 원), 2020년 인천세관에 4대(3.9억 원)를 배치하여 항만감시 업무를 시작했으나, 적발 건수 제로의 초라한 성적표만 남기고 있는 상황이다.

 

홍성국 의원은 “마약 등을 밀수하는 자들의 수법은 점점 고도화되는데, 우리의 감시 능력은 오히려 뒷걸음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항만감시 임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내구성 있는 장비를 신속히 배치할 수 있도록 관련 정부기관은 대안 마련에 심각하게 고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p. Hong Seong-guk, Korea Customs Service operates only 2 out of 14 ‘port surveillance drones’

 

It was found that the Korea Customs Service's port surveillance using drones (unmanned aerial vehicles) has not improved since last year's government inspection and has actually worsened.

 

According to the National Assembly audit data submitted by the Korea Customs Service by Rep. Hong Seong-guk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a member of the Planning and Finance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Busan Customs has suspended port surveillance using drones from May 2022 to the present, and Incheon Customs has suspended port surveillance services using drones. Only two out of four are in operation.

 

The fact that the original monitoring activities were very low due to frequent breakdowns and recalls was pointed out in last year's government audit, and the Korea Customs Service decided to prepare improvement measures.

 

However, even though a year had passed, the situation was found to have worsened. Busan Customs is not operating all 10 purchased drones. One unit was disused, and nine units are currently undergoing repair, inspection, and product replacement after reporting a defect in July of last year.

 

Incheon Customs has discarded two of the four drones and is carrying out its mission with the remaining two.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operation had been suspended for two months starting in July this year due to a breakdown.

 

After a two-year pilot operation starting in 2017, the Korea Customs Service began port surveillance by deploying 10 units (KRW 590 million) to Busan Customs in 2019 and 4 units (KRW 390 million) to Incheon Customs in 2020, but the number of detections was zero. The situation leaves us with only a shabby report card.

 

Rep. Hong Seong-guk said, “The methods of those smuggling drugs are becoming more sophisticated, but our surveillance capabilities are actually taking a step backwards.” He added, “We need to quickly deploy durable equipment that can properly perform port surveillance missions.” “Government agencies must seriously consider coming up with alternatives,” he said.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