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160억 규모 지방무역항 사용료 넘겨받아..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3/09/10 [16:24]

충남도, 160억 규모 지방무역항 사용료 넘겨받아..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3/09/10 [16:24]

▲ 국제여객터미널 건립을 추진중인 대산항 전경(자료사진)     ©서산시

충남도가 지난 3월 김태흠 지사가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과 가진 ‘선상 정책 현안 협의’에서 꺼낸 ‘지방관리 무역항 시설 사용료 지방 이양’ 요청이 5개월여 만에 결실을 맺으면서 연간 160억 원 안팎의 지방관리 무역항 사용료를 이양받게 됐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내년부터 도내 지방관리 무역항에 대한 항만 시설 사용료를 약 160억 원을 징수해 지방세로 세입 처리하고, 항만 개발 등 도민을 위해 사용한다고 10일 밝혔다.

 

항만법 개정에 따라 충남도는 지난 2021년 도내 지방관리 무역항인 보령항과 태안항, 연안항인 대천항과 마량진항에 대한 시설 개발, 운영 등 41개 국가 사무를 이양받았다.

 

그러나 지방관리 무역항 항만 시설 사용료에 대해서는 이양받지 못하며, 사용료를 징수해 국가 세입으로 처리해왔다.

 

항만 시설 사용료는 선박 입출항료, 접안료, 정박료, 화물 입항료, 전용시설 사용료, 수역 점용료 등으로, 최근 3년 간 도내에서 거둔 금액은 연 평균 163억 원이다.

 

충남도가 지방관리 무역항 개발·관리 등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 받는 항만 분야 전환 사업비는 연간 300억 원이다.

 

그러나 도가 투입하는 예산은 지난해 300억 원에서 올해 363억 원으로 늘었으며, 항만 특성상 개발 사업 추진 시 대규모 예산이 필요한 상황이다.

 

항만기본계획에 반영된 대천항 북방파제, 재해 예방 사업에만 2638억 원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지난해 8월 해수부에 항만 시설 사용료 지방 이양을 건의했었다.

 

한편 충남도는 2025년까지 보령신항 예정지와 대천항에 1399억 원을 투입해 개발 사업을 추진, 중·서부권 화물량 처리 규모 확대에 대응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akes over 16 billion won worth of local trade port usage fees...

  

South Chungcheong Province's request for 'transferring local management trade port facility usage fees to the local government', which Governor Kim Tae-heum brought up during the 'discussion on shipboard policy issues' with Minister of Oceans and Fisheries Cho Seung-hwan last March, came to fruition in about 5 months, with the annual local management amounting to around 16 billion won. Trade port usage fees were transferred.

 

Accordingly,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nounced on the 10th that starting next year, it will collect approximately 16 billion won in port facility usage fees for locally managed trade ports in the province, treat the revenue as local taxes, and use it for the benefit of the province's residents, including port development.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Port Act, South Chungcheong Province took over 41 national affairs, including facility development and operation, for Boryeong Port and Taean Port, which are locally managed trade ports in the province, and Daecheon Port and Maryangjin Port, which are coastal ports, in 2021.

 

However, the fee for use of port facilities at local trade ports was not transferred, and the fee was collected and treated as national revenue.

 

Port facility usage fees include ship arrival/departure fees, berthing fees, anchorage fees, cargo arrival fees, exclusive facility usage fees, and water area occupancy fees. The amount collected in the province over the past three years is an average of 16.3 billion won per year.

 

The port sector conversion project cost that South Chungcheong Province receives from the government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locally managed trade ports is 30 billion won per year.

 

However, the budget invested by the province has increased from 30 billion won last year to 36.3 billion won this year,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port, a large budget is needed when carrying out development projects.

 

263.8 billion won will be spent on the Daecheon Port North Breakwater and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alone, which are reflected in the port basic plan.

 

Accordingly, South Chungcheong Province proposed transferring port facility usage fees to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n August last year.

 

Meanwhile,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nounced that it plans to invest 139.9 billion won in development projects at the Boryeong New Port site and Daecheon Port by 2025 to respond to the expansion of cargo handling volume in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