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대한민국 최초 ‘벼 3모작 시대’ 연다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1/08/17 [14:45]

충남도, 대한민국 최초 ‘벼 3모작 시대’ 연다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1/08/17 [14:45]
▲ 빠르미 벼 수확 사진     ©김정환 기자

충남에서 파종 69일 만에 첫 수확을 실시한 ‘충남 빠르미’가 대한민국 농업의 새로운 장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충남도에 따르면 새로운 농업 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충남 빠르미’는 국내 쌀 품종 중 재배 기간이 가장 짧을 뿐 아니라 대한민국 최초 ‘벼 3모작 시대’를 열 것이라고 충남도가 밝혔다.

 

충남도는 청양과 부여 시설하우스 농가에서 빠르미를 활용해 한 땅에서 두 차례 수확을 마친 뒤 세 번째 작물 재배를 시작, 연작 피해를 잡고 농가 소득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17일 청양과 부여에서 양승조 지사, 농업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시설하우스 3모작을 위한 빠르미 수확 행사’를 잇따라 개최했다.

 

청양 지역 시설하우스에서는 지난 1∼5월 수박을 재배한 뒤, 6월 9일 빠르미를 이앙해 불과 69일 만인 이날 벼베기를 진행했다.

 

오는 25일에는 2차로 빠르미를 이앙하고 11월 중순쯤 수확해 3모작을 완성할 계획이다.
 
이 농가는 그동안 봄철 수박 재배 뒤 일반 벼를 심어 10월 수확해왔다.

 

10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토마토를 재배하던 부여 시설하우스에서는 지난 5월 작물 재배를 마치고, 같은 달 25일 빠르미를 이앙했다.

 

이어 84일 만인 이날 수확을 마쳤으며, 다음 달 3일 오이를 심어 12월 중순쯤 수확할 예정이다.

 

부여 시설하우스는 대체로 10∼5월 토마토·6∼9월 멜론, 1∼5월 수박·6∼9월 멜론·10∼12월 수박이나 오이를 키우며 2∼3모작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작물 3모작은 연작 피해를 일으키며,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다.

 

시설하우스 토양 내 비료 등 염류 집적은 농가의 가장 큰 골칫거리다.

 

지속적으로 사용해온 농약·비료는 토양에 염류를 집적시켜 작물 수확량을 감소시키고, 상품성을 떨어뜨려 농가 소득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

 

토양 내 염류 집적 해결 방안으로는 담수 제염과 객토, 흡비작물 재배, 표토 제거, 미생물제제 처리 등이 있는데, 벼 재배를 통한 염류 제거는 효과가 85% 가량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 벼 재배는 휴경 기간이 2∼3개월에 불과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설농가에서는 벼를 재배하지 않고 물만 채워 놓거나, 벼를 심더라도 후속 작물 재배 시 대부분 갈아엎는다.

 

빠르미를 개발한 윤여태 박사는 “시설하우스는 염류 집적 문제 해결 방안으로 작물 재배 중간 벼 재배가 가장 이상적이지만, 긴 생육 기간 때문에 벼 대신 작물을 연속적으로 재배하며 땅을 혹사시키고 있다”라며 “이는 수량과 상품성에 악영향을 미치며, 동일한 인건비와 자재비를 투입하고도 소득이 줄어드는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청양 시설하우스 사례처럼 빠르미는 70일 안팎에도 수확이 가능한 만큼, 짧은 휴경 기간 내 재배가 가능하다.

 

두 시설작물 재배 사이 휴경 기간에 빠르미를 재배함으로써 토질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작물의 수량과 상품성을 높여 소득 증대까지 연결한다.

 

또 수확한 빠르미는 비교적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

 

현재 전국 대형마트 온오프라인으로 판매 중인 빠르미 가격은 1㎏ 당 최고 5925원으로, 지난해 도내 생산 쌀보다 1㎏ 당 1000원 안팎 비싸다.

 

빠르미는 도 농업기술원이 지난 2009년부터 국내외 조생종 품종을 교배해 개발한 극조생종 품종으로, △2기작·노지 2모작·시설하우스 3모작을 통한 농가 소득 증대 △노동력·농자재·수자원 절감 △기후변화 시대 식량위기 대응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기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an English article translated from the above article with Google Translate.

                                                                 Reporter  Jeong-Hwan KIM

 

[Chungcheongnam-do opens Korea’s first ‘three rice crop era’]

 

'Chungnam Parmi', which was harvested for the first time in 69 days after sowing in Chungnam, is expected to open a new chapter in Korean agriculture.

According to Chungcheongnam-do, 'Chungnam Parmi', which will play a leading role in the new agricultural development, has the shortest cultivation period among domestic rice varieties and will open Korea's first 'era of three rice crops', said Chungnam Province.

Chungcheongnam-do plans to use parmi in Cheongyang and Buyeo facility house farms to start growing a third crop after harvesting twice on the same land, preventing damage from continuous cropping and increasing farm household income.

On the 17th, the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held the 'Parmi Harvesting Event for 3 Planting Facility Houses' in Cheongyang and Buyeo in the presence of Governor Yang Seung-jo and farmers.

After growing watermelons from January to May last year at the facility house in Cheongyang, they transplanted Parmi on June 9 and carried out rice harvesting on this day in just 69 days.

On the 25th, Parmi is transplanted for the second time and harvested in mid-November to complete the third crop.
This farmhouse has been harvesting in October after planting watermelons in the spring and then planting regular rice.

At the Buyeo Facility House, where tomatoes were grown from October to May of the following year, the crops were grown in May, and Parmi was transplanted on the 25th of the same month.

After 84 days, the harvest was completed, and cucumbers were planted on the 3rd of the next month and harvested in mid-December.

Buyeo facility houses generally grow tomatoes in October-May, melons in June-September, watermelons in January-May, melons in June-September, and watermelons or cucumbers in October-December.

However, triple cropping of facility crops causes damage to continuous cropping, and has the opposite effect.

The accumulation of salts such as fertilizers in the soil of facility houses is the biggest problem for farmers.

Pesticides and fertilizer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used are reducing crop yields by accumulating salts in the soil, and lowering the marketability of the crops, resulting in a decrease in farm household income.

Solutions to the accumulation of salt in the soil include desalination of fresh water, cultivation of clay soil, sucking crops, removal of topsoil, and treatment with microbial agents.
However, general rice cultivation is impossible because the fallow period is only 2-3 months.

Accordingly, facility farms do not grow rice, but fill it with water, or even if rice is planted, most of it is plowed during subsequent crop cultivation.

Dr. Yeo-Tae Yoon, who developed Parmi, said, “In the facility house, rice cultivation is ideal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salinity accumulation. It has an adverse effect on product quality and product quality, and is causing damage to decrease income even with the same labor and material costs.”

As in the case of the Cheongyang Facility House, parmi can be harvested in around 70 days, so it can be cultivated within a short rest period.

The soil quality is improved by cultivating parmi during the fallow period between the cultivation of two facility crops, and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income by increasing the yield and marketability of crops.

In addition, the harvested parmi can be sold at a relatively high price.

Parmi, which is currently sold online and offline at large supermarkets nationwide, is priced at 5,925 won per kilogram, which is around 1,000 won per kilogram more expensive than rice produced in the province last year.

Parmi is an extremely early breed developed by the Provincial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since 2009 by crossing domestic and foreign early breeding breeds. It can have the effect of responding to the food crisis of the times.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