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전지부, 인천 '특수교사 추모식' 개최

과밀학급, 과도한 행정업무, 소통 거부한 교육청...사회적 타살에 대한 반성과 성찰 필요

정지완 기자 | 기사입력 2024/12/11 [16:39]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전지부, 인천 '특수교사 추모식' 개최

과밀학급, 과도한 행정업무, 소통 거부한 교육청...사회적 타살에 대한 반성과 성찰 필요

정지완 기자 | 입력 : 2024/12/11 [16:39]

▲ 지난 10일 대전시교육청 정문에서 '인천 특수교사 사망사건 진실 규명 요구 기자회견과 추모식'이 대전지역 특수교사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 정지완 기자

 

"갑질 행정 교육청을 규탄하고,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특수교사의 죽음에 대한 진상 조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전지부(이하 전교조 대전지부)는 지난 10일 오후 대전시교육청사 앞에서 대전지역 특수교사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故 인천학산초 교사 49재 추모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전국에서 동시에 이뤄진 이번 추모식에서는 '故 인천학산초 특수교사에 대한 순직 인정, 죽음에 대한 철저한 진상 조사 및 책임자 처벌, 특수학급 과밀화 해소 조치, 학급 환경 개선, 특수교사의 행정업무 경감'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날 전교조 대전지부 추모식에서 현장발언을 진행한 대전맹학교 김덕윤 교사는 "15년 전 목숨을 달리한 모 교사의 죽음을 '왜'라는 질문도 못한 채, 그냥 넘겨버릴 수 밖에 없었던 기억이 있다. 오늘 우리는 또 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추모를 하고 있다"며, "이번이 끝이 아닐까봐, 출구가 보이지 않아서 가슴 한 편이 답답하다"고 말했다. 

 

김현희 전교조 대전지부장도 “특수교사의 열악한 노동조건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회적 타살 사건"이라면서 "격무와 고충의 실체를 밝혀 다시는 교사가 소중한 생명을 잃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뜻을 전했다.

 

실제 대전의 특수교육 현장에서도 장애학생과 관련된 모든 사안들을 '특수교사'의 역량과 책임 소재로 돌리는 일이 허다하며,  합의와 근거에 입각한 교육적 조치가 아닌 '민원 회피'를 위해 평교사의 헌신과 희생을 강요하는 일들이 적지 않다는 의견들이 있었다. 

 

중학교 과정에 근무하고 있는 한 특수교사는 "학교가 민원에서 자유롭기 위해 일부러 학부모와 특수교사 간의 갈등을 조장하는 경우도 있다. '담당 교사가 경력이 짧아서, 특수교사가 이해가 부족해서' 등 교육 현장이 정치판이 아닌데, 왜 제대로 가르치고 싶은 교사와 배우고 싶은 학생, 믿고 싶은 학부모가 서로 생채기를 내게끔 유도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대전지역 장애인 부모 단체 소속 학부모 또한 "철저히 내 자녀의 선생님인 특수교사를 보호하면서 요구하는 것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신뢰를 구축하기까지 시행착오는 있겠지만, 서로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책적인 부분과 행정적 지원의 문제는 교사가 아닌 교육당국과 교육청, 관리자에게 해야하고, 그 과정에서 선생님의 철저한 보호막이자 지원군이 되어줘야 한다."며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학부모 간 신뢰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We must condemn the abusive administrative office of education and conduct an investigation into the death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for whom no one is taking responsibility."

 

The Daejeon branch of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aejeon branch) announced that it held the 49th memorial service for the late Incheon Haks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front of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n the afternoon of the 10th, with approximately 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 Daejeon area in attendance.

 

At this memorial service held simultaneously across the country, voices continued to call for 'recognition of the late Incheon Haksan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ath as a death in the line of duty, a thorough investigation into the death and punishment of those responsible, measures to alleviate overcrowding in special classes, improvement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Kim Deok-yoon, a teacher at Daejeon Blind School who gave a speech at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Daejeon branch of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on this day, said, "I remember that I couldn't even ask 'why' about the death of a teacher who lost his life 15 years ago, and I had no choice but to just let it go. Today, we are once again commemorating the repeated deaths," and added, "I feel a pang in my chest because I feel like this might not be the end and I can't see the exit." Kim Hyun-hee, the head of the Daejeon branch of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also said, “This is a social murder case that clearly shows the poor working condi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veyed his intention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overwork and hardships so that teachers never lose their precious lives again.”

 

In fact,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in Daejeon, there are many cases where all issues related to disabled students are attributed to the cap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re are many opinions that regular teachers are forced to make sacrifices and sacrifices in order to ‘avoid complaints’ rather than taking educational measures based on agreement and evidence.

 

A special education teacher working in middle school said, “There are cases where schools intentionally encourage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be free from complaints. "The educational field is not a political arena, so I don't understand why teachers who want to teach properly, students who want to learn, and parents who want to trust are being led to fight each other," he said.

 

A parent belonging to a group of parents of disabled people in the Daejeon area also said, "We must thoroughly protect our childre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make demands based on that. There will be trial and error until trust is built, but communication is important. Policy issu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addressed to the educational authorities, the Office of Education, and administrators, not the teachers, and in the process, they should be thorough protectors and supporters for the teacher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ust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sabled students, and parents.

 

【브레이크뉴스=대전세종충청】 정지완 기자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dhpd30320@hanmail.net
 
#전교조 대전지부 #대전전교조 #전교조 인천 특수교사 추모식 #특수교사 인권 #장애학생 인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