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을 준다, 나에게..."

삶의 절반은 죽음이다

솔향 김종태 | 기사입력 2024/12/09 [21:19]

"꽃을 준다, 나에게..."

삶의 절반은 죽음이다

솔향 김종태 | 입력 : 2024/12/09 [21:19]

 

 장사익 선생님과 뒤풀이에서

 계백의 숨결 머문 황산성으로 지친 여정의 해가 마지막 무늬를 새기며 저문다. 찬란했거나 우울했던 하루의 시간들을 어둠이 감싸 안으며 스러진다. 그리고 짙은 침묵과 안도의 시간, 죽음이다.

 

▲연산 황산성에 저무는 노을

 

신께서 어김없이 고달픈 삶의 어느 한곳에 죽음이 배려해 놓았다.

마치 매일 쏟아져 나와 우주에 가득 차 떠도는 80억 인간의 기도에 대한 응답으로 그래, 네 운명과 의지로 잘 살아왔으니 이제 편히 쉬어라!’ 개별적 삶에 집착하는 인간의 소망을 보편적 인간현상인 죽음을 통하여 말해주고 있는듯하다.

 

▲  엑스포아트홀(현 신세계백화점)앞 마당

 

장자는 대지는 우리에게 형체를 부여하고, 삶을 주어서는 우리를 수고롭게 한다. 늙게 만듦으로서 우리를 편안하게 하고, 죽음으로서 우리를 쉬게 한다.’라고 하였다. 한 해의 마지막을 정리해 보면서 죽음을 연습하고 죽음이 영면을 주는 것이라 위로해본다.

 

▲  연산 황산성 노을

 

12월 한해 마무리하는 장사익 선생님의 30주년 공연이 아름답다.

처음 임동창씨 피아노연주와 함께 찔레꽃을 부를 때부터 30년 세월을 함께 지켜보았는데 하얀 백발, 깊은 주름, 노래 끝 갈라지는 마른 소리조차 곱고 아름답다. 세월을 거스르지 않고 순응하며 흘러가고 있는 듯 고고함에 더 큰 울림이 공명하는듯하다.

 

 2024년 장사익공연 포스터

공연을 이끌어낸 주제가 황청원의 시 '꽃을 준다, 나에게'이다. 늘 누구에게 축하하고 위로하고 미안해하며 꽃을 주었는데 나에게는 꽃을 준적이 없어 이젠 나에게 꽃을 준다고 노래한다.

 

저마다 삶의 과정에 아픔을 겪어오면서 살아왔기에 깊은 공감을 하게 된다. 그 질곡 진 삶의 고통을 견디며 살아온 끝자락 어딘가에 멈추어 스스로 그런대로 잘 살아왔어위로하며, 죽음에 이르러서야 받게 될 꽃에 앞서, 삶의 끝자락, 조용히 지나온 삶을 회상하며 나에게 꽃을 주는 상상만으로도 가슴이 촉촉해 진다.

 

 장미가 있는 정원, 연산


때론 실패도 하였고, 비난도 들어야 했고, 몰래 숨죽여 울 때도 있었기에 주마등처럼 스치는 치열하고 억척스러웠던 삶의 족적들이 아프게 회상되어지면서 문득 내가 나에게 꽃을 주고 싶은 것이다.

 

  예술의 전당 장사익 공연

 

늘 시를 노래로 만들어 불러주는 장사익 선생님의 공연의 30년 인생,

꽃을 준다 나에게를 노래하며 모든 공연이 그윽하고 아름다운 한편의 시의 여행되었다. 사랑과 배려, 공감이 함께 하였었다.

 

 예술의 전당 장사익공연

 

공교롭게 호통치고 군림하며 오르지 삶만 바라보고 개별적 탐욕으로 세상을 어지럽게 만들어온 집단의 우두머리들이 벌인 어리석고 파렴치한 행동도 그 시간 속에 공존한다.

 

우울하게 나라를 걱정하며 촟불을 켠 국민의 옆에서 실익의 계산기를 두드리고 우왕좌왕하는 정치인들이 만든 세상이 함께 곁에서 암울하게 저물고 있었다.

 

▲히말라야산 (사진제공 동방고 이익수선생)

 

"죽지 않을 것처럼,

아직 죽지 않은 것처럼 살지 말라."

살아있다는 것은 고통이다. 삶의 고통이 클수록 죽음이 편안하다고 하는데

삶의 매순간 신께서 기도를 듣고 주는 마지막 배려일 것이다.

  

죽음은 어김없이 저들에게도 닿을 것이다. (김종태)

 

< 솔향 김종태 약력 >

픽모아문화관광뉴스 회장

동구, 대덕구축제위원회위원, 위원장

대전세종연구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위원

대전킥복싱협회고문/ 스포츠공정위원

대전척수장애인협회 허브센터장

CMB대전방송위원, TRA미디어지사장

대전폴리텍대학홍보대사

`93대전엑스포동우회 간사

브레이크뉴스/원데일리뉴스 논설고문

대전관광공사이사회의장

 

*네이버에 솔향 김종태 검색하면 더 많은 글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sun of the weary journey engraves its last pattern in the sulfuric acid where Gyebaek’s breath lingers and sets. Darkness embraces and falls the moments of the day that were brilliant or gloomy. And the time of deep silence and relief, death.

 

God has invariably placed death somewhere in the midst of our difficult lives.

 

It seems as if it is the answer to the prayers of the 8 billion people who pour out every day and fill the universe, saying, ‘Yes, you have lived well with your destiny and will, so now rest in peace!’ It seems to be telling us about the desires of humans who are obsessed with individual lives through death, a universal human phenomenon.

 

Zhuangzi said, ‘The earth gives us form, and makes us suffer by giving us life. It makes us comfortable by making us old, and gives us rest through death.’ As I organize the end of the year, I practice death and console myself that death gives eternal rest.

 

The 30th anniversary performance by Jang Sa-ik, which wraps up the year in December, is beautiful.

 

I have watched over the past 30 years since I first sang ‘Jirekkot’ with Mr. Im Dong-chang on the piano. Even the white hair, deep wrinkles, and dry sound at the end of the song are beautiful and pretty. It seems to flow without going against the years, adapting to them, and the greater resonance seems to resonate with its nobility.

 

The theme that led the performance is Hwang Cheong-won’s poem ‘Give Me Flowers’. He always gave flowers to someone to congratulate, comfort, and apologize, but he never gave me flowers, so he sings that he now gives me flowers.

 

I deeply sympathize with him because we have all experienced pain in the course of our lives. He stops somewhere at the end of his life, enduring the pain of that difficult life, and consoles himself by saying, ‘I’ve lived well enough’, and before he receives the flowers that he will receive only when he dies, just imagining him giving me flowers at the end of his life, quietly recalling his life, makes my heart ache.

 

Sometimes I failed, I had to listen to criticism, and sometimes I cried in secret, so when I painfully recalled the fierce and tenacious footsteps of my life that passed by like a revolving lantern, I suddenly wanted to give myself a flower.

 

The 30-year life of performance by Jang Sa-ik, who always made poetry into songs,

 

Every performance became a journey of a deep and beautiful poem while singing ‘Give Me a Flower’. Love, consideration, and empathy were present.

 

Coincidentally, the foolish and shameless actions of the leaders of the group who only looked at life and made the world chaotic with individual greed while shouting and dominating also coexisted in that time.

 

The world created by politicians who were calculating their own interests and moving around while the people who were worried about the country and turning on the lights were darkly fading away.

 

“Don’t live as if you won’t die,

 

as if you haven’t died yet.”

 

Being alive is suffering. They say that the greater the pain in life, the more comfortable death is.

 

Every moment of life is probably the last consideration that God gives after hearing your prayers.

 

Death will inevitably reach them. (Kim Jong-tae)

 

 

 

 

 
광고
광고
칼럼 많이 본 기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