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 혁신특구' 최종 선정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4/12/09 [10:37]

대전시,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 혁신특구' 최종 선정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4/12/09 [10:37]

▲ 대전시 중기부 공모 첨단바이오제조 글로벌 혁신특구 선정 발표_사진  © 대전시


대전시가 중소벤처기업부의 '글로벌 혁신특구' 공모에 최종 선정되었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한 사업으로, 규제, 실증, 인증, 보험 등에서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의 제도를 적용하여 첨단 분야의 신제품 개발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대전시는 이번 공모를 준비하기 위해 약 5개월 동안 지역의 관련 기업과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바이오제조'라는 글로벌 혁신특구 계획을 수립하고, 지난 10월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번 공모에는 총 7개 지자체에서 9개 과제가 접수되었으며, 12월 4일 1차 서면 평가를 통과한 6개 과제를 대상으로 발표 평가를 진행한 결과, 대전을 포함한 3개 지자체가 최종 선정되었다. 

 

선정된 과제는 대전의 첨단바이오제조, 경남의 차세대 첨단위성, 대구의 AI 로봇이다.

 

합성생물학 기반의 첨단바이오제조는 세계적인 바이오 대전환기와 맞물려 주목받고 있는 산업으로, 글로벌 바이오제조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24%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보스턴컨설팅 그룹의 보고서에 따르면, 합성생물학 기술이 10년 내에 석유화학 등 기존 제조산업의 1/3 이상을 대체하며 30조 달러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대전시는 이러한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공공 인프라, 수요 중심의 연구개발(R&D), 글로벌 진출 지원, 국내 규제 완화 등 네 가지 전략을 통해 첨단바이오제조 산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대전시가 밝힌 네 가지 전략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있는 바이오파운드리와 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센터의 GMP 시설을 활용하여 LMO 연구개발 및 생산 지원,  기업과 해외 연구기관 간의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우수 기술 확보 지원, 해외 인증과 위탁생산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신속한 해외 진출과 대량 생산 기술 확보 지원, 산업용 LMO 균주 사용 범위를 확대하고, 바이오 메뉴판을 제작하여 기업이 필요한 균주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대전시는 이번 특구사업을 통해 첨단바이오제조가 활성화되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상되는 경제적 효과로는 1266억 원의 생산 유발과 547명의 고용 유발이 있다.

 

한선희 대전시 미래전략산업실장은 “올해 바이오특화단지와 기회발전특구 선정에 이어 글로벌 혁신특구까지 선정되면서 대전의 첨단기술 기반 바이오기업들이 전 세계로 비상할 수 있는 날개를 달았다”며, “앞으로 대전시는 지속 가능한 첨단바이오 신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글로벌 특구를 성공적으로 운영하여 첨단바이오제조 선도 도시로 비상하겠다”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aejeon City,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Global Innovation Special Zone' Final Selection

 

Daejeon City was finally selected for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Global Innovation Special Zone' contest.

 

The Global Innovation Special Zone is a program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overseas expansion in advanced fields by applying global standard systems in regulations, verification, certification, and insurance as an advanced regulatory free zone.

 

In order to prepare for this contest, Daejeon City collected opinions from related companies and organizations in the region for about 5 months, established a plan for a global innovation special zone called 'Advanced Bio-Manufacturing Based on Synthetic Biology', and submitted an application in October.

 

A total of 9 projects from 7 local governments were received for this contest, and 6 projects that passed the first written evaluation on December 4 were presented for evaluation, and 3 local governments including Daejeon were finally selected.

 

The selected projects are Daejeon's Advanced Bio-Manufacturing, Gyeongnam's Next-Generation Advanced Satellite, and Daegu's AI Robot.

 

Advanced biomanufacturing based on synthetic biology is an industry that is receiving attention in line with the global bio-transformation, and the global biomanufacturing market is expected to grow by an average of 24% per year until 2030.

 

According to a report by the Boston Consulting Group, synthetic biology technology is expected to replace more than 1/3 of existing manufacturing industries such as petrochemicals within 10 years and create economic value of 30 trillion dollars.

 

In order to gain an advantage in this global competition, Daejeon City plans to intensively foster the advanced biomanufacturing industry through four strategies: public infrastructure, demand-oriented research and development (R&D), support for global expansion, and relaxation of domestic regulations.

 

The four strategies revealed by Daejeon City are to support LMO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production by utilizing the Biofoundry at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and the GMP facilities at the Daejeon Technopark Biocenter, to support securing excellent technologies needed by companies through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between companies and overseas research institutes, to establish a system to support overseas certification and consignment production to support rapid overseas expansion and securing mass production technologies, to expand the scope of use of industrial LMO strains, and to create a bio menu board to support companies to easily select the strains they need.

 

Daejeon City expects that if advanced bio-manufacturing is activated through this special zone project, new markets and jobs will be creat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he expected economic effects include inducing production worth 126.6 billion won and creating 547 jobs.

 

Han Seon-hee, the head of the Daejeon Metropolitan Government’s Future Strategy Industry Office, said, “Following the selection of the Bio-Specialized Complex and Opportunity Development Special Zone this year, the selection of the Global Innovation Special Zone has given Daejeon’s cutting-edge technology-based bio companies wings to soar across the globe,” adding, “Going forward, Daejeon will spare no support in fostering sustainable cutting-edge bio new industries, and by successfully operating the global special zone, we will rise as a leading city in cutting-edge bio-manufacturing.”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