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한전, ‘한전 대전보급소’보존·활용방안 추진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4/10/07 [15:32]

대전시-한전, ‘한전 대전보급소’보존·활용방안 추진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4/10/07 [15:32]

▲ 대전시 한전 대전학발전소 건립을 위한 협약 체결 사진  © 대전시


대전시와 한국전력공사가 7일 국가등록유산‘한전 대전보급소’(동구 신흥동 150-208)의 보존과 활용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대전시는 한전 전력연구원의 연구소로 사용 중인 한전 대전보급소를 매입, 대전의 첫 지역학 교육‧연구 거점 공간인‘대전학발전소’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협약식은 소유권 이전과 함께, 두 기관이 성공적인 대전학발전소 건립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는 약속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날 협약에 따라 대전시는 사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한전 대전보급소의 원형복원에 필요한 한전 측의 고증자료 제공과 대전학발전소 내 건축물의 이력과 역사를 보여주는 기념공간(memorial hall) 조성에도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한전도 대전시의 중요한 정책사업을 위해 건물 매도를 결정했지만, 한전 소유로는 60여 년, 길게는 100년이 넘게 전력시설로 사용되어 온 만큼 시민들에게 이 역사 또한 잊히지 않길 바라는 의미에서 이번 협약이 체결됐다. 

 

이번 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대전시와 한전은 대전학발전소의 개관까지 함께 필요한 공동 사업들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 현장을 둘러보는 이장우 대전시장  © 대전시


대전학발전소는 일제강점기인 1930년 ㈜대전전기의 제3발전소로 건립된 현 한전 대전보급소 내 조성될 예정으로, 9월 12일 제안 공모를 통해 설계안을 확정, 실시설계를 앞두고 있다.

 

이 사업에는 대전에 남겨진 유일한 산업건축유산인 한전 대전보급소의 원형복원이 포함되어 있으며, 장소와 건축물의 역사성을 창조적으로 계승한다는 의지를 담아 명칭 또한 “대전학발전소 건립”으로 명명했다.

 

1층은 리모델링을 통해 대전과 관련된 각종 도서와 기록물의 열람과 복제가 가능한 대전학 아카이브가 조성될 계획이며, 2층은 세미나와 컬로퀴엄(colloquium) 같은 각종 학술행사와 강연 등의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될 대형 콘퍼런스 홀을 조성한다.

  

대전학발전소는 내년 초까지 설계를 마치고 약 1년간의 문화유산 보수 및 시설공사를 거쳐 2026년 상반기 개관할 예정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협약식에서 “대전시는 광역시, 전국 도시 가운데서도 도시브랜드 평판 전국 1위를 차지한 곳”이라며 “지금은 국가 단위의 경쟁보다는 도시 간 경쟁이 본격화된 시대다. 대전학발전소가 대전의 도시경쟁력에 토대가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aejeon City-KEPCO to promot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KEPCO Daejeon Supply Station’

 

Daejeon City and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announced on the 7th that they signed a business agreement to promote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roject of the nationally registered heritage ‘KEPCO Daejeon Supply Station’ (150-208, Sinheung-dong, Dong-gu).

 

Daejeon City is purchasing the KEPCO Daejeon Supply Sta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as a research institute for the KEPCO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and is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the ‘Daejeon Hak Power Plant’, the first regional studies education and research base in Daejeon.

 

This agreement ceremony contains the meaning of the transfer of ownership and the promise that the two organizations will work together to successfully build the Daejeon Hak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agreement on this day, Daejeon City expects KEPCO to provide historical data necessary for the restoration of the KEPCO Daejeon Supply Station,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 project, and to cooperate in creating a memorial hall that shows the history and history of the buildings within the Daejeon Hak Power Plant.

 

Although KEPCO decided to sell the building for an important policy project in Daejeon, it has been used as a power facility for over 60 years, or even over 100 years under KEPCO ownership, so this agreement was signed with the hope that the citizens will not forget this history.

 

Starting with this agreement, Daejeon City and KEPCO will pursue necessary joint projects until the opening of the Daejeon Hak Power Plant.

 

The Daejeon Hak Power Plant will be built within the current KEPCO Daejeon Supply Station, which was built as the third power plant of Daejeon Electric Co., Ltd. in 1930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design plan was finalized through a proposal contest on September 12, and the detailed design is about to begin.

 

This project includes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KEPCO Daejeon Supply Station, the only remaining industrial architectural heritage in Daejeon, and the name was also named “Daejeon Hak Power Plant Construction” to express the will to creatively inheri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location and building.

 

The first floor will be remodeled to create the Daejeon Academic Archive, where various books and records related to Daejeon can be viewed and copied, and the second floor will be a large conference hall where various academic events such as seminars and colloquiums and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lectures will be operated.

 

The Daejeon Academic Power Plant is scheduled to complete the design by early next year and open in the first half of 2026 after about a year of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and facility construction.

 

At the signing ceremony, Daejeon Mayor Lee Jang-woo said, “Daejeon City is ranked first in city brand reputation among metropolitan cities and nationwide cities,” and “Now is an era where competition between cities has intensified rather than competition at the national level. The Daejeon Academic Power Plan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s the foundation for Daejeon’s urban competitiveness.”

김정환 기자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