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교육청이 올해 2회차 대전교육공감원탁회의(이하 원탁회의)에 참여하는 토론자를 공개 모집한다고 밝힌 가운데 원탁회의 개최를 놓고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대전시교육청은 20회 동안 원탁회의를 진행했고, 매회 진행마다 100명 내외의 토론 참여자들이 참석해 대전교육 발전을 위한 제안과 개선 방향 등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는 게 대전교육청의 설명이다.
원탁회의는 정책소개를 시작으로 그룹별 토론, 결과 공유 등의 순으로 3시간 동안 진행되며 원활한 회의 진행을 위해 각 그룹마다 전문 퍼실리테이터를 1명씩 배치하여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토론을 지원한다.
원탁회의에서 도출된 제안은 검토를 거쳐 정책에 반영될 예정이며, 소통과 공감을 통한 교육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는게 원탁회의 개최 이유로 보인다.
하지만 원탁회의에 참여하는 토론자들의 다양성 부족으로 틀과 각본에 짜여진 대로 회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실제 매회 100여 명의 토론자 가운데는 학부모 70% 정도가 참여하고 교직원과 학생이 30% 가까이 참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토론 참여자 모집을 하면서 홈페이지 등을 통한 참여자 모집에 한계가 있으면서 대다수 토론자들은 학교를 통해서 모집을 하고 있다.
표현은 모집이라고 하나 실제는 참여를 요청할 수 밖에 없는 학교와 학부모의 특수 관계예 따라 학부모 토론참여자가 모집되면서 공개 모집의 취지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상이 이렇다 보니 참여자들의 전문성과 준비 부족 등으로 인해 원탁회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과 함께 원탁회의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쇄신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운영 정책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회의시간의 제한으로 인해 모든 의견을 충분히 듣지 못하거나, 일부 의견이 과소평가될 수 있어 의사소통의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무엇보다 원탁회의에서 논의된 다양한 제안이 정책에 반영돼 실제 정책으로 구현되는 과정에서 실행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지적과 함께 참여자들이 충분한 사전 정보를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회의에 참석할 경우, 효과적인 토론이 어려울 수 있어 사전준비를 위한 시간적 제약으로 인한 부실 토론이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대전시교육청의 원탁회의 운영과 관련해 문제점이 지적되는 가운데 원탁회의의 성공적인 안착과 정책 실현을 위해 학생, 학부모, 교사, 교육 전문가 등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확대하여 다양한 시각을 반영하도록 하는 참여자 구성의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대안이 제기되고 있다.
또 오프라인 회의뿐만 아니라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의견 수렴 과정을 다각화하고, 이로 인해 시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의사소통 채널 강화가 필할 뿐 아니라 회의 전에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고, 사전 토론을 통해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실행 계획을 수립해 그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대전교육공감원탁회의가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회의 후 참여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개선점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회의 방식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대전시교육청은 오는 8월 27일 오후 2시, BMK컨벤션에서‘대전형 적정규모학교 함께 이해하기’라는 주제로 개최하는 '2024년 제2회 대전교육공감원탁회의'에 참여할 토론참여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aejeon Education Sympathy Roundtable’ only increases in number of sessions, policy reflection ‘slightly’
While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nounced that it will be recruiting discussants to participate in the 2nd Daejeon Education Sympathy Round Table Confere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ound Table Conference) this year,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problems raised in holding the round table conference and ways to improve them.
So far,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as held roundtable meetings for 20 times, and in each session, approximately 100 participants attended and expressed various opinions, including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aejeon education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roundtable conference will be held for 3 hours, starting with policy introduction, group discussion, and sharing of results. To ensure smooth progress of the meeting, one professional facilitator will be assigned to each group to support stable and effective discussions.
The suggestions made at the roundtable will be reviewed and reflected in policies, and the reason for holding the roundtable seems to be tha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olicies through communication and empathy.
However, as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meeting is being conduct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and script due to the lack of diversity among the discussants participating in the roundtabl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in this regard.
In fac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100 or so discussants each time, about 70% were parents and nearly 30% were faculty and students.
The problem is that while recruiting debate participants, there are limitations in recruiting participants through websites, etc., and most debaters are recruited through schools.
It is said that it is a recruitment, but in reality, it is pointed out that parent discussion participants are recruited based o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nd parents, who have no choice but to request participation, thus defeating the purpose of the open recruitment.
Given this realit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quality of the round table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and preparation of the participants, and there are calls for changes in the operating policy, such as whether an overall reform of the operation of the round table is necessary.
In addition, there are concerns that communication may be limited as all opinions may not be fully heard due to limitations in meeting time, or some opinions may be underestimated, so improvement appears to be necessary.
Above all,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various proposals discussed at the round table may lack implementation ability in the process of being reflected in policy and implemented into actual policy. In addition, if participants attend the meeting without sufficient prior information, effective discussion may be difficult.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are concerns about poor discussions due to time constraints for advance preparation.
While problems are being pointed out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round table conference, in order to successfully establish the round table conference and implement policie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composition of participants to reflect diverse perspectives by expanding participation from various classes such as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educational experts. An alternative is being suggested as necessary.
In addition, by utilizing not only offline meetings but also online platforms to diversify the opinion collec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mmunication channels to overcome time constraints, as well as provide sufficient data before the meeting and improve understanding of key issues through prior discussions.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o continuously monitor the progress by establishing a specific and feasible action plan based on what was discussed at the meeting.
Above all, in order for the Daejeon Education Empathy Roundtable to operate more effectively, efforts are required to receive feedback from participants after the meeting,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and reflect this to continuously improve the meeting method.
Meanwhile,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s recruiting discussion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the '2024 2nd Daejeon Education Sympathy Roundtable' held at the BMK Convention on August 27th at 2pm under the theme 'Understanding Daejeon-type Appropriate-Sized Schools'. revealed.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대전세종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정환 기자
djbreaknews@naver.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