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안내] 즉흥 연극 ‘플레이백 시어터’ 대전에 첫 선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4/06/16 [22:16]

[공연 안내] 즉흥 연극 ‘플레이백 시어터’ 대전에 첫 선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4/06/16 [22:16]

‘소외’를 주제로 활동해 온 여성-청년 창작집단 팀 ‘오토’의 4번째 작품

8월 6일에서 11일까지, 유성 플랜 B홀에서 열려

▲ 배우들이 연극연습을 통해 즉흥 장면을 만들고 있다.  © 도밍고


퀴어한 삶들을 조망하는 즉홍 연극 형식의 공연 <이건 이름없는 이야기야>가 오는 8월 6일부터 11일까지 골프존조이마루 6층 플랜B홀(대전 유성구 엑스포로97번길 40)에서 열린다. 

 

퀴어인권 논의가 전무한 대전에서 소수자 인권 주제를 무대에 올리는 연극에 많은 시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연극을 기획하는 집단은 ‘소외된 모든 것을 조명하는 여성창작집단 팀 오토’다. 

 

오토는 대전에 있는 청년-여성 집단으로 다양성, 소외를 주제로 한 예술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가령, 성소수자, 장애, 노동, 빈곤, 여성 등 소외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다뤄온 셈이다.

 

특히 이번 연극의 형식이 독특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연극은 ‘플레이백 시어터(Playback Theatre)’로 1975년 미국에서 처음 시도되어 예술계의 관심을 끌고 있는 치유형 공연 장르다. 

 

특히 공연 중 사회자와 관객이 대화한 내용을 바탕으로 배우들과 악사가 즉석에서 연기와 연주로 무대 위에 표현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관객과 소통하는 연극이라 불린다.

 

배우들은 자유로운 표현을 막는 내적 억압을 걷어내고, 자발성과 창의력을 끌어내는 연습을 해왔다. 

▲ 배우들이 연극치료 안에서 마음의 이야기를 찾아내고 있다.  © 도밍고


관객의 이야기를 즉시 듣고, 바로 풀어낼 수 있으려면, 배우들이 먼저 ‘나’와의 깊은 만남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연습 안에 실 관객을 초대하고 관객의 서사를 연출하는 과정과 연극치료 기법을 시도했다. 특히 관객 중 다수는 소수자 권리를 기반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었고, 배우들로부터 사회적 공감과 지지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에서 활동해 온 연극치료사이자, 예술 활동가 한은성은 세상에 잘 드러나지 않는 ‘소외’를 주제로 작업을 이어왔고 이번 연극도 소외된 ‘누군가’에게 삶의 희망과 가치를 전하고자 준비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연극은 소외된 ‘퀴어’의 삶, 퀴어와 관련된 삶의 경험들을 무대로 올릴 예정으로 더 세심하게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 공연의 목적은, 사회 곳곳에 머물고 있는 성 소수자들의 삶을 무대 위로 올리고, 사회적 공감과 지지를 다시 그에게 돌려 당사자와 자신을 투영해 바라본 관객 모두의 삶에 희망과 가치를 불어넣는 데 있습니다.

 

한 여름 날 소나기처럼 찾아오는 ‘연극’, 그리고 나의 마음과 너의 마음을 이어내서 ‘우리의 커먼즈’를 형성하는 이 연극에 당신을 초청한다. 

 

한은성 연출, 이소영 조연출에 배우 강다민·조소영·전재민·황윤결 악사 이래숙이 출연한다. 7월 7일부터 예매할 수 있으며 오토 인스타그램 (@0wtto0)을 통해 자세한 공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정가 3만원, 예술인 2만원, 장애인 2만원).

 

한편, 연출가이자 연극치료사인 한은성은 관계 안에서의 불안을 다룬 치료적 공연 <마이 민>, 중증 여성 장애인의 자전 공연 <진희의 꿈>, 여성 노동자의 삶을 다룬 1인극 <당신이 어떤 일을 하든지 간에,> 등 세상에 잘 드러나지 않는 ‘소외’를 주제로 작품 연출을 이어가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mprovisational play ‘Playback Theater’ debuts in Daejeon

 

The 4th work of ‘Oto’, a female-youth creative group team that has been working on the theme of ‘alienation’

Held at Yuseong Plan B Hall from August 6th to 11th

 

<This is a Nameless Story>, a performance in the form of an impromptu play that looks at queer lives, will be held from August 6th to 11th at Plan B Hall, 6th floor, Golf Zone Joymaru (40 Expo-ro 97beon-gil, Yuseong-gu, Daejeon).

 

In Daejeon, where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of queer human rights, many citizens are paying attention to plays that stage minority human rights topics.

 

The group planning the play is ‘Team Otto,’ a women’s creative group that sheds light on all things marginalized.

 

Otto is a young and female group in Daejeon that has been making art on the themes of diversity and alienation. For example, marginalization has been addressed from various aspects, including sexual minorities, disabilities, labor, poverty, and women.

 

In particular, the format of this play is unique, and it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This play is called ‘Playback Theater,’ a healing performance genre that was first attempted in the United States in 1975 and is attracting attention from the art world.

 

In particular, it is called a play that communicates with the audience by having actors and musicians express themselves on stage through acting and playing on the spot based on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host and the audience during the performance.

 

Actors have been practicing to remove internal oppression that blocks free expression and bring out spontaneity and creativity.

 

This is because in order to be able to immediately hear the audience’s story and immediately interpret it, actors must first have a deep encounter with ‘me’.

 

Accordingly, we invited a real audience into the practice and tried the process of directing the audience's narrative and drama therapy techniques.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many of the audience told their own stories based on minority rights and received social sympathy and support from the actors.

 

Han Eun-seong, a theater therapist and art activist who has been working in Daejeon, has continued to work on the theme of ‘alienation’, which is not often revealed to the world, and said that this play was prepared to convey the hope and value of life to ‘someone’ who is alienated.

 

In particular, she said that she is continuing to work more carefully on this play as it plans to stage the lives of marginalized ‘queers’ and their life experiences related to queers.

 

“The purpose of this performance is to bring to the stage the lives of sexual minorities living in various parts of society and to bring social sympathy and support back to them, infusing hope and value into the lives of both those involved and the audience who see themselves reflected in them. .

 

Through the play, we see how the lives of the parties involved are revealed, and through this, the play builds mutual sympathy. “It provides ‘hope and value of life’ so that you can not only look at your life objectively, but also look at your life through someone else’s life.”

 

We invite you to this ‘play’ that comes like a shower on a midsummer day, and this play that connects my heart and yours to form ‘our commons.’

 

Directed by Han Eun-seong and assistant directed by Lee So-young, actors Kang Da-min, Jo So-young, Jeon Jae-min, and Hwang Yun-gyeol and musician Rae-sook Lee appear. Reservations can be made starting July 7, and detailed performance information can be found through Otto's Instagram (@0wtto0) (regular price 30,000 won, artists 20,000 won, disabled people 20,000 won).

 

Meanwhile, director and theater therapist Han Eun-seong produced <My Min>, a therapeutic performance about anxiety in relationships, <Jinhee's Dream>, an autobiographical performance of a severely disabled female woman, and <No matter what you do>, a one-person play about the life of a female worker. He continues to produce works with the theme of 'alienation', which is not often revealed to the world.

김정환 기자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