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비노조는 상시근무자 10일 이상 자율연수 실시, 방학 중 비근무자 연간 320일 근무일수 보장, 조리원 배치기준 하향 조정 등을 요구하면서 대전시교육청 1층 로비와 3층 일부를 점거하고 쟁의행위(파업)를 벌이고 있다.
학비노조 파업에는 일선학교(초등학교 11교, 중학교 8교) 급식종사자(조리원)를 주축으로 지난 5월 15일부터 무기한 릴레이 파업을 벌이고 있다.
이들 노조원들은 당초 대전시교육청 현관 앞에서 농성을 시작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노조원들이 교육청 내로 진입을 시도했고, 1층 로비와 3층 일부를 점거한 상태에서 자신들의 요구 관철을 위해 파업 농성을 벌이다 3층에서는 철수를 한 상태다.
문제는 이들 노조원들이 파업을 하면서 일선 학교 급식 제공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릴레이 파업이라고는 하나 한 학교에서 전체 급식종사자인 조리원들이 파업에 동참하면서 학생들에게 사실상 급식제공을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인 것이다.
지난 25일 기준 파업에 참가하고 있는 19개 학교 가운데 4개 학교만 정상적인 급식을 실시하고 있고, 3개 학교는 개인도시락 지참, 12개 학교는 빵과 우유 등 대체식으로 점심을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자녀를 해당 학교에 보내고 있는 학부형들의 맘적 고충이 심해 지면서 좌불안석 ,노심초사 사태 해결이 될 때까지 무작정 기다려야만 하는 답답한 마음 뿐 특별히 부모로서 해야할 일이 없었다.
하지만 최근 학부모들이 참여하고 있는 맘카페를 주축으로 이들 노조원들의 무기한 파업에 대해 곱지않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들 맘카페에는 "도대체 아이들 상대로 뭐하는 겁니까...",항상 급식종사자들만 파업! 화나요. 요구사항이 너무 많아요", 파업 자주하는거 같아서 부정적 시각으로 보게되네요", 빵 싫어하는데 빵 나와서 또 도시락 싸야 할 것 같아요", "파업 징글 징글 하네요", "학생을 볼모로 하는 파업 정말 그만 했으면 하네요", "자율연수요? 교사예요? 공무원이세요? 이제 공무원 권리까지 갖고 싶으신거죠?", "또 시작 어휴 지겹습니다", "방학때도 급여가 필요한 사람은 다른 일 찾아야죠", "제가 가서 일하고 싶네요", "공무원이랑 대우를 똑같이 받으려고 하고, 애들 담보로 맨날 저런짓 하고 화가나네요" 등 노조 파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학부모들은 노조원들이 본인들 자녀들도 학교에 다니는 학생이 있을텐데 자식걱정을 하지 않고, 본인들 요구사항 관철을 위해 무기한 파업을 벌이고 있는 것이 과연 올바른 일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면서 파업을 해도 좋은지 자녀들에게 먼저 물어봐야 할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학비노조의 파업에 대해 대전둔산중학교 A학부모는 "지난 3월 두번째 파업까지는근무환경이 열악해 그러는구나 이해하려고 했는데 연속해서 파업을 하게 되다 보니까 아이들을 볼모로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은 무리한 요구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말하고 "노사 합의를 떠나 아이들을 볼모로해서 급식파업을 하면서 문제 해결을 한다는 것에 대해 매우 잘못됏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시는 이런 파업이 있어서는 안되고 정당한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학비노조 파업으로 대체식을 제공하고 있는 대전선화초등학교 학부모는 "노조원들이 본인들이 해야할 일을 하면서 정당한 요구를 한다면 문제가 없을텐데 학생들을 볼모로 본인들의 요구를 관철시키려 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생각 한다"면서 "노조원들이 하루빨리 농성을 풀고 학교로 돌아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교육청도 학비노조 무기한 파업 돌입을 진행하고 있는것에 대해 그동안 단체교섭을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고 밝히면서 학비노조의 요구사항에 대해 수용을 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대전시교육청은 노조의 요구사항인 조리원 배치기준 하향조정 요구(현행 1인당 113명을 특광역시 최저 수준인 96명으로 하향 요구) 건에 대해서 특광역시 평균인 107명으로 조정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노조의 요구안에 대해 대안을 제시했다.
현재 전국 특광역시 가운데 1인당 조리원 배치 기준가운데 인천광역시만 96명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대전 학비노조는 인천광역시와 동일한 수준으로 하향조정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대전시교육청은 출산율 감소를 포함해 취학인구 감소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고, 교육청이 제시한 안대로 운영을 해도 몇 년이 지난면 학생수 감소로 노조가 요구하는 학생 수 이하로 자연 하향 조정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있고, 무엇보다 현재도 교육부의 총액인건비 기준인원을 초과해 운영을 하고 있어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전시교육청은 또 방학 중 비근무자 연간 320일 근무일수 보장 요구에 대해서는 방학 중 하는일 없이 20~30일 가량 출근했다 근로제공 없이 임금을 받겠다는 것은 무노동 무임금 원칙에 위배 될 뿐 아니라, 상시근무자들과의 형평성을 들어 사실상 수용을 거부했다.
학비노조는 또 상시근무자 10일 이상 자율연수 실시를 요구하고 있으나 이 또한 교육청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전시교육청은 근무지 외 자율연수는 교육공무원법 제41조에 따라 교원들이 방학 중에 시행하는 제도로 근로기준법을 적용받는 교육공무직원에게는 같은 제도를 시행하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거절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arents 'bubble' over strike by Daejeon Tuition Union
While the damage caused by the long-term strike of the Daejeon branch of the National School Temporary Workers Union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Tuition Fees Union) is being passed on to school students, parents who are sending their children to school are bursting with anger.
The tuition union occupied the lobby on the 1st floor and part of the 3rd floor of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staged an industrial action (strike), demanding that full-time workers conduct voluntary training for more than 10 days, guarantee 320 working days per year for non-workers during vacation, and lower the standards for cooking staff. are doing
In regards to the student union strike, an indefinite relay strike has been held since May 15, led by food service workers (cooks) in front-line schools (11 elementary schools, 8 middle schools).
These union members initially started a sit-in in front of the entrance of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but as time passed, the union members attempted to enter the Office of Education and held a strike to fulfill their demands while occupying the lobby on the 1st floor and part of the 3rd floor. has been withdrawn.
The problem is that as these union members go on strike, school meal provision is taking a direct hit.
Although it is called a relay strike, a school is in a situation wher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provide meals to students as the entire food service staff joins the strike.
As of the 25th, out of 19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strike, only 4 schools are providing normal meals, 3 schools are bringing their own lunches, and 12 schools are providing lunch with alternative meals such as bread and milk. .
As the situation was like this, the parents who were sending their children to the school concerned intensified their emotional difficulties, and there was nothing to do as parents except for the frustration of having to wait recklessly until the situation was resolved.
However, recently, there are unkind voices about the indefinite strike of these union members, led by Mom Café, which parents are participating in.
In these mom cafes, "What the hell are you doing with children...", Only food workers always strike! I'm angry. There are too many demands", It seems like strikes are frequent, so I see it in a negative light", I don't like bread, but I think I'll have to pack lunch again", "The strike is jingle jingle", "I really hope that strikes that take students hostage will stop" , "Self-training? Are you a teacher? Are you a civil servant? Do you want to have civil servant rights now?", "It's boring again", "Those who need wages even during vacation should find other jobs", "I want to go and work", "I want to be treated the same as civil servants, Negative views on the union strike are the main ones, such as "I'm angry with you for doing that every day".
Parents said that union members had to ask their children if it was okay to go on strike, saying that they could not help but ask if it was right for union members to not worry about their children and to go on an indefinite strike to fulfill their demands, even though their children would also be in school. pointed out that
Regarding the strike by the Tuition Union, a parent of Daejeon Dunsan Middle School A said, "Until the second strike in March, I tried to understand that it was because of the poor work environment. "I think it's very wrong to leave the labor-management agreement and solve the problem by going on a food strike with the children hostage," he said.
"I believe that there should never be a strike like this again and that it should be resolved in a legitimate way," he said.
Parents of Seonhwa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who are providing substitute meals due to the strike by the school tuition union, said, "If union members make legitimate demands while doing what they have to do, there will be no problem. "I hope the union members will end their sit-in as soon as possible and return to school," he said.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demands of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Tuition Fee Union'...
On the other hand,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lso made it clear that it was difficult to accept the demands of the student union, saying that they had been making efforts for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meantime, regarding the indefinite strike of the student union.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howed the union's positio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number of cooks to the average of 107 in the special metropolitan area in response to the union's request to lower the standard for cooking staff (currently 113 per person per person to 96, the lowest level in the special metropolitan area). proposed an alternative to the request.
Among special metropolitan cities across the country, only Incheon Metropolitan City is operating with 96 cooks per capita, but the Daejeon Tuition Union is requesting a lower adjustment to the same level as Incheon Metropolitan City.
However,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s experiencing a clear decline in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cluding a decrease in birth rate, and even if it is operated as sugges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ill naturally be lowered below the number of students required by the union after a few years due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bove all, it is the position that it cannot be accommodated because it is currently operating in excess of the standard number of personnel for the total labor cos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lso responded to the request to guarantee 320 working days per year for non-workers during vacation. In fact, he refused to accept it, citing fairness with the department.
The Tuition Union also requested that full-time workers conduct self-training for more than 10 days, but the Office of Education expressed its position that this was also unacceptable.
The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ade clear its refusal, citing the reason that autonomous training outside the workplace is a system implemented by teachers during vaca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41 of the Educational Public Officials Act, and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same system for educational public officials subject to the Labor Standards Act.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대전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전시교육청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