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동구가 아동양육시설에 지원하는 보조금이 부당하게 사용된 정황을 인지 하고서도 즉각적인 행정조치를 취하지 않으면서 해당 시설과의 유착의혹을 받고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동구청 관계자는 해당시설을 옹호하는 발언을 해 취재기자를 의아하게 했다.
보조금 부당사용 의혹이 제기된건 지난해 12월 29일 동구청 여성아동과 김현정 과장과 주무관이 입회한 가운데 동구의회 강정규 부의장 실에서 처음 제기됐다.
당시 제기된 의혹은 동구 산내로에 위치한 아동양육시설인 A복지법인이 실제 시설에 근무하지 않고있는 대학 재학생에게 지난 2010년부터 2012년도까지 약 3년동안 급여를 지급했다는게 주된 의혹의 핵심이었다.
이 같은 의혹은 당시 시설에 근무했던 교사들이 증언을 하면서 수면위로 들어났고, 29일 전직 교사들의 증언을 동구청 김현정 과장 등 관계자들도 함께 직접 들을 수 있었다.
당시 증언은 경험하거나 실제 현장에서 확인하지 않고는 증언 할 수 없는 증언들로 당시 A복지법인에서 운영하고 있는 아동양육시설에서 근무했던 전 교사들의 증언이었다.
문제는 이같은 증언을 접하고도 동구청이 1개월이 넘는 동안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으면서 봐주기 의혹 등 불필요한 의혹을 스스로 사고 있다는데 있다.
전 교사들의 증언을 종합하면 당시 법인대표와 시설 원장의 아들 B씨에게 약 3년여 동안 시설에 근무하는 것처럼 해서 급여를 지급했다는게 주된 증언이다.
B씨는 당시 시설에 근무를 하지않았고 대학재학생으로 시설에 근무를 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니었다는게 전 교사들의 증언이다.
전 교사들의 증언이 사실이라면 이는 보조금을 불법으로 사용한 것으로 범죄행위에 해당 할수도 있는 사안으로 동구청이 즉각적이고도 철저한 사실관계 확인 등을 했어야 했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동구청은 1개월이 넘는동안 해당 시설에 대한 사실확인은 물론 전 교사들의 증언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는 등 기초적인 조사조차 실행하지 않고 있으면서 해당 시설을 감싸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오해를 스스로 사고있다.
당시 전 교사들의 증언을 같이 들었던 김현정 과장은 언론과의 통화에서 "현재 여성아동과에서는 할 수 있는게 없다"는 말을해 듣는 귀를 으심하게 하고 "2월 중으로 회계감사를 실시할 예정으로 감사실과 협의를 해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답변만 했다.
김 과장의 답변 대로 라면 사실을 인지한지 1개월 동안 증언만 들었을 뿐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것으로, 동구청이 당연히 해야할 직무를 태만히 한 것으로 들리기에 부족해 보이지 않았다.
주무부서 김현정 과장의 답변대로라면 보조금은 우리과에서 집행을 했지만 그 보조금이 제대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감사를 통해서만 알 수 있을 것 같다는 답변이었다.
한해 10억 원이 넘는 보조금을 집행하고 있는 주무과장의 답변이라기 보다는 남의일을 대하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
김 과장의 답변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는 대전시 관계자는 "교사들의 증언에 대해 동구청에서 사실 확인은 기본으로 했어야 하고, 무엇보다 동구청 해당 과에서 감사 이전에 보조금 집행 정산에 대한 책임이 있는 만큼, 증언에 등장한 인물에게 부당하게 보조금이 지급되었는지는 확인을 하고 사실로 확인되면 즉시 보조금을 회수하는 노력을 했어야 하는데 왜 그렇게 일처리를 했는지 모르겠다"며 의아해 했다.
한편 대전 동구청은 A복지법인에 지난 2022년도에는 약 16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했고, 올해에는 약 17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대당 복지법인은 전 법인대표와 시설 원장이 지난 2018년 보조금을 횡령해 법적 처분을 받은 사실이 있는 법인으로 도덕성에 큰 흠집을 남긴 법인이지만, 동구청은 보조금 횡령사실을 확인하고서도 해당 법인에 보조금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눈총을 사고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aejeon Dong-gu, do you turn a blind eye to childcare facility subsidy illegal activities...?
Daejeon Dong-gu is suspected of collusion with the facility without taking immediate administrative action even after recognizing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subsidy provided to the childcare facility was unfairly used.
In particular, during this process, an official from Dong-gu Office made a statement defending the facility, which puzzled the reporter.
The suspicion of unfair use of subsidies was raised for the first time on December 29 last year in the office of Vice Chairman Kang Jeong-gyu of the Dong-gu Council, with Kim Hyun-jeong, head of the Dong-gu Office Women's and Children's Division, and the responsible officer present.
The main suspicion raised at the time was that A Welfare Corporation, a childcare facility located in Sannae-ro, Dong-gu, paid wages to college students who were not actually working at the facility for about 3 years.
This suspicion came to the surface as teachers who worked at the facility at the time testified, and on the 29th, former teachers' testimonies were heard directly from Dong-gu Office Manager Kim Hyeon-jeong and other officials.
The testimonies at that time were testimonies that could not be testified without experience or confirmation on the spot, and were the testimonies of former teachers who worked at a child care facility operated by A welfare corporation at the time.
The problem is that the Dong-gu Office has not taken any action for more than a month after hearing these testimonies, while raising unnecessary suspicions on its own, such as suspicions of neglect.
Summarizing the testimonies of former teachers, the main testimony is that the company representative at the time and Mr. B, the son of the director of the facility, were paid as if they were working at the facility for about 3 years.
Former teachers testify that Mr. B did not work at the facility at the time and was not in a position to work at the facility as a college student.
If the testimony of former teachers is true, this is an illegal use of the subsidy, which could be a criminal act, and the Dong-gu Office should have immediately and thoroughly confirmed the facts.
However, for more than a month, the Dong-gu Office has not even conducted a basic investigation, such as checking the facts about the facility and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former teachers, and is misunderstanding that it is covering the facility. .
At the time, Manager Kim Hyeon-jeong, who had heard the testimonies of former teachers, said in a phone call with the press, "Currently, there is nothing we can do in the Women's and Children's Department." We are discussing and making plans.”
According to Manager Kim's answer, she only listened to the testimony for a month after she was aware of the facts, but she did not take any action.
According to the answer of Kim Hyeon-jeong, manager of the department in charge, the subsidy was executed by our department, but the answer was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subsidy was properly used only through an audit.
I got the impression that he was dealing with someone else's business rather than an answer from the head of the department, who is administering subsidies of more than 1 billion won a year.
An official from Daejeon City, who is providing subsidies for Manager Kim's answer, said, "The Dong-gu Office should have checked the facts about the teachers' testimonies, and above all, as the Dong-gu Office is responsible for the subsidy execution and settlement before the audit, the testimony We should have checked whether the subsidy was unfairly paid to the person in "" and if it was confirmed as fact, we should have tried to recover the subsidy immediately, but I don't know why they did it that way," he wondered.
On the other hand, Daejeon Dong-gu Office provided a subsidy of about 1.6 billion won to A welfare corporation in 2022, and plans to provide a subsidy of about 1.7 billion won this year.
Daedang Welfare Corporation is a corporation with a fact that the former corporate representative and the director of the facility were subject to legal action for embezzlement of subsidies, and it is a corporation that left a big flaw in morality. I'm buying a glare gun.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대전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