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과학산업계, 항공우주청 경남 설립 결사반대...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2/04/28 [14:58]

대전과학산업계, 항공우주청 경남 설립 결사반대...

김정환 기자 | 입력 : 2022/04/28 [14:58]

▲ 대덕연구단지  전경 자료사진   ©김정환 기자

국가 미래 100년을 위한다면 대전이 최적지이다.

 

대통령 인수위원회는 지난 4월 27일 균형발전 지역공약으로 항공우주청을 설립하고 경남에 설치한다고 발표한 것을 두고 대전지역 과학산업계가 결사반대 입장을 밝혔다.

 

과학산업계를 포함한 관련 단체와 전문가들은 28일 윤 당선인 대전방문에 맞춰 기자회견을 열고 “인수위가 깊은 논의 없이 우주청이 아닌 항공우주청 방식과 이를 경남에 설립하는 것을 발표한 것은 모두 국가적, 산업적, 전략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비과학적인 정치적 결정이자 국가 미래를 생각했을 때 매우 우려되는 결론임을 분명하게 밝힌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들은 “국내외 항공 분야는 대부분 실용화와 항공기 정비, 관리, 법규 중심으로 업무가 이루어지는 데 반해서 우주 분야는 R&D를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되어온 역사적 맥락과 산업적 측면에서 성격이 다르고 통합, 운영하는 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가 우주탐사 프로그램과 우주산업 육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독립적인 우주조직을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반면 우리나라 우주 업무는 다양한 부처에 흩어져 있고 효과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을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우주 분야 수요와 미래에 예상되는 응용분야 업무를 통합적으로 대응하는 정부 조직이 필요한 상태이다. 이 경우 우주 분야를 중심으로 우주청 혹은 우주처로 정부 조직을 설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이 경우 우주청은 국가의 우주 정책과 전략, 우주산업 육성에 매진해야 하고 다른 부처 및 전략기관, 연구기관 및 대학, 산업체와의 협업이 가능한 조직 형태가 되도록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어떠한 형태가 되든 우주청은 정부 부처는 물론 우주 관련 연구, 관리, 정책기관과 출연(연), 대학, 우주, 항공, 국방 기업들이 이미 클러스터화되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대전에 자리 잡는 것이 합리적인 결정이다”고 항공우주청의 대전 입지 당위성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전에는 이미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가 있어 세계 최고의 항공우주, 천문우주산업, 국방 분야 최고 인재들이 세계적인 지식·인재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고 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카이스트, 한밭대, 충남대 인프라 등이 있어 빅데이터, 인공지능, 우주항공 정밀기계, 극한소재부품, 로봇 및 첨단장비, 우주산업기술, 우주바이오, 국방기술 등이 융합하여 세계적인 첨단 연구와 인재 양성 혁신 역량, 신산업 성장 동력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또한 “대전 충청에는 114개의 우주기업이 있고 우주항공국방 분야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스타트업과 혁신기업이 성장하면서 새로운 융합신산업 생태계를 자생적으로 성장시켜왔다. 새롭게 생산되는 지식과 인재, 기술 간 융합을 통한 새로운 스타트업이 잘 출현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하고 “우주항공국방 산업이 필요로 하는 설계, SW, 소재 부품,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지능형 로봇, 첨단 장비, 이차전지, 추진연료, 3D 프린팅, 산업복합디자인 등의 핵심 기술과 산업 역량을 구축하고 있다”고 대전의 풍부한 인프라를 강조했다.

 

이들은 대전에 항공우주청이 들어서게 되면 “대전과 인근의 3군 사령부와 군 핵심 정보 시설, 국방과학연구원, 중앙정부조직이 밀접해 있어 (가칭)우주청을 국가 안보 및 효과적인 행정 역량과의 연결이 가능한 대전지역에 설치하는 것이 국가적으로 투자 효과를 빠른 속도로 극대화하는 길이다”고 고 밝히고 “또한 부단위 정부조직은 세종으로, 청단위 정부조은 대전으로 이동한다는 정부 조직의 원칙이 깨진다면 모든 지역이 관련 부처를 이동해달라는 요구도 봇물 터지듯 터지며 과학의 정치화, 행정의 정치화가 확산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기자회견을 연 대전지역 과학계는 “이 모든 것을 종합해 볼 때 통합적인 국가전략의 하나로 많은 숙고를 거쳐 가칭 우주청을 설립하여야 하며, 대전은 모든 면에서 우주청의 역할을 국가적으로 가장 잘 수행할 가장 최적지라는 것이 과학기술계의 과학적인 결론이다”는 표현으로 대전입지 당위성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대전뉴스페이스발전협의회 사공영보 회장 외 50여 개 참여 기업과 기관,공공과학기술혁신협의회 회장 이주진(항공우주연구원 전임 원장) 6개 단체,한국경제과학기술협력협의회 민병찬 수석부회장, 이선우 사무총장 외 50여 명,한국항공우주연구원 노동조합 신명호 위원장,국방소프트웨어협회 황일선 회장, 따뜻한 과학마을 벽돌한장 정흥채 회장,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 전임 회장 이규호, (사)아이야 대표 김형만 한밭대학교 김건희 교수 외 학계 전문가 15명, 아이티존 대표 김경일, 유바이오텍 대표 김병렬, 광산건설 김민석 전무,성우트레이드 대표 박현성, 에어뉴 대표 이기수 등 다수 개별 기업이 동참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aejeon science industry opposes the establishment of the Aerospace Administration in Gyeongnam...]
[Daejeon is the best place for the future 100 years of the country.]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announced on April 27 that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would be established as a regional pledge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installed in Gyeongnam.

Related organizations and experts including the scientific industry held a press conference on the 28th to coincide with Yoon-elect's visit to Daejeon on the 28th and said, "The announcement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not the Space Agency, and the establishment of it in Gyeongnam by the takeover committee without in-depth discussion were all national, industrial and strategic. "I make it clear that this is an unreasonable and unscientific political decision, and a very worrisome conclusion when considering the future of the country."

They said, “In the domestic and foreign aviation sector, most of the work is centered on commercialization, aircraft maintenance, management, and laws, whereas the space sector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historical context and industrial aspect of R&D-centered development, and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and operate it. ” he pointed out.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operating independent space organizations while actively promoting space exploration programs and fostering the space industry,” he said. .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government organization that comprehensively responds to the current space field demand and the future application field work. In this case, it is reasonable to design a government organization as the Space Agency or the Space Agency with a focus on the space sector,” he emphasized.

They also said, “In this case, the Korea Space Agency must focus on the national space policy and strategy and fostering the space industry, and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form an organization that can collaborate with other ministries, strategic institutions,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and industries. And whatever form it takes, it is a reasonable decision for the Space Agency to settle in Daejeon, where not only government departments, but also space-related research, management, and policy institutions,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space, aviation, and defense companies have already clustered and can create synergy. It is,” he explained, explaining the justification for the Daejeon location of the Aerospace Administration.

He added, “In Daejeon, there are already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orea Astronomy and Defense Research Institute, and the world’s best talents in aerospace, astronomy and space industries and defense are building a world-class knowledge and talent ecosystem.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Korea Basic Science Support Institut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orea Energy Research Institute, KAIST, Hanbat Univers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frastructure, etc. Extreme material parts, robots and advanced equipment, space industry technology, space biotechnology, and defense technology are converging to build world-class advanced research, talent nurturing innovation capabilities, and new industry growth engines.”

“There are 114 space companies in Daejeon and Chungcheong, and as hardware, software, service startups and innovative companies in the aerospace defense sector have grown, a new convergence industry ecosystem has been autonomously growing. We are building a cluster where new start-ups can well emerge through the convergence of newly produced knowledge, talent, and technology. We are building core technologies and industrial capabilities such as , intelligent robots, advanced equipment, secondary batteries, propulsion fuels, 3D printing, and industrial complex design,” he emphasized, emphasizing Daejeon’s rich infrastructure.

When the Aerospace Administration was established in Daejeon, they said, “Daejeon can connect the Space Administration with national security and effective administrative capabilities because Daejeon and the nearby 3rd Army headquarters, military core information facilities, National Defense Science Research Institute, and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s are close. Installing it in a local area is the way to maximize the national investment effect at a rapid rate,” he said. Demands for the movement of ministries will explode like an explosion, and the politicization of science and politicization of administration will spread,” he emphasized again and again.

The science community in Daejeon, who held the press conference, said, “Considering all of this, the provisional name Space Agency should be established after much deliberation as one of the integrated national strategies. This is the scientific conclusion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community,” and put an end to the justification for the location of Daejeon.

At the press conference on this day, Daejeon Newspace Development Council Chairman Sakong Young-bo and more than 50 participating companies and institutions, Public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ouncil Chairman Lee Ju-jin (former president of the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6 organizations, Korea Economic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Council Senior Vice Chairman Min Byung-chan, and Lee Seon-woo About 50 other people, including the secretary general, Shin Myung-ho, chairman of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labor union, Hwang Il-seon, chairman of the Defense Software Association, Jeong Heung-chae, chairman of a warm science village, a brick, Kyu-ho Lee, former chairman of the Association of Heads of Special R&D Zones, Kim Hyung-man, CEO of IA, Kim Hyung-man, professor Kim Kun-hee, Hanbat University A number of individual companies participated, including 15 experts from outside academia, Kyeong-il Kim, CEO of ITZONE, Byeong-ryeol Kim, CEO of Ubiotech, Min-seok Kim, managing director of Gwangsan Construction, Hyun-seong Park, CEO of Sungwoo Trade, and Ki-soo Lee, CEO of Airnew.

 
광고
광고
대덕밸리 많이 본 기사
광고